상반기 주택거래량 46만여건…작년보다 23.4% 줄어

상반기 주택거래량 46만여건…작년보다 23.4% 줄어

입력 2016-07-14 11:07
업데이트 2016-07-14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구·광주·울산서 큰 폭 감소…수도권·지방 온도차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작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20% 이상, 평년보다는 1%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46만7천659건으로 역대 최대 주택거래량을 기록한 작년(61만796건)보다 23.4%, 최근 5년 평균보다 1.3% 줄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시장이 평년수준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반기 주택거래량은 지역별로 수도권이 24만1천893건, 지방이 22만5천766건으로 작년보다 각각 22.0%와 25.0% 감소했다. 단 5년 평균에 견주면 수도권은 18.6% 늘었지만, 지방은 16.4% 줄어드는 등 ‘온도 차’가 있었다.

수도권 중 서울은 상반기 9만174건의 주택거래가 이뤄져 작년보다 18.6% 감소했지만 5년 평균보다는 34.3% 증가했다.

지방에서는 작년 집값이 크게 뛰었던 대구·광주·울산 등의 주택거래량 감소가 두드러졌다.

대구는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1만4천425건으로 작년보다 54.1%, 5년 평균보다 49.8% 감소하는 등 주택시장이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1만3천219건, 울산은 1만733건의 주택거래량을 기록해 작년보다는 각각 39.4%와 33.0%, 5년 평균보다는 27.9%와 26.6% 감소했다.

경북에서는 작년보다 38.0%, 5년 평균보다 30.8% 감소한 1만9천76건이 상반기에 거래되면서 광역시가 아닌 시·도 지역 중 가장 많이 줄었다.

주택유형별로 상반기 거래량을 보면 아파트는 29만7천604건으로 작년보다 29.9%, 5년 평균보다 10.7% 감소했다.

연립·다세대주택은 9만7천515건으로, 작년보다 8.0% 줄고 5년 평균보다는 7.7% 늘었으며 단독·다가구주택은 7만2천540건으로 9.5% 감소하고 18.6% 증가했다.

상반기 주택거래량이 지역·주택유형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6월 거래량만 놓고 보면 수도권은 주택시장이 회복·유지, 지방은 침체하는 모습을 보였다.

6월 전국 주택거래량은 9만2천611건으로 작년(11만388건)보다 16.1% 감소했으나 5년 평균보다는 2.6%, 전월인 5월보다는 3.7%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5만2천864건, 지방이 3만9천747건으로 양쪽 모두 작년보다 줄었지만, 감소율은 수도권이 7.6%, 지방이 25.2%로 차이가 컸다.

특히 6월 주택거래량을 5년 평균이나 전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각각 38.2%와 6.8% 증가했지만, 지방은 23.6%와 0.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서울 강남 재건축단지 등 일부 주택시장에 대한 기대로 수도권 주택거래량이 2월 이후 꾸준히 늘었다고 설명했다.

지방에서는 대구(작년 대비 -55.5%)·울산(-43.2%)·경북(-35.3%)·충남(-31.8%) 등의 6월 주택거래량 감소율이 높았다.

주택거래량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이나 국토부 실거래가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