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기근’ 건설업계 인력 감축 바람

‘일감 기근’ 건설업계 인력 감축 바람

류찬희 기자
입력 2019-03-19 17:36
업데이트 2019-03-20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사업 침체·해외공사 수주 감소 탓

삼성물산·현대 등 작년 수백명씩 줄여
일부 중견 건설업체선 신사업 진출도


대형 건설업체의 임직원 수가 줄고 있다. 해외 건설 수주 감소와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발주 축소, 주택사업 침체 등으로 일감이 쪼그라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택사업에 치중했던 일부 중견 건설업체들은 새로운 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5대 대형 건설사 임직원 수는 전년보다 감소했다. 신입사원 공채도 줄어들고 필요한 경우만 경력직으로 채웠다. 덩치를 줄여 고정 비용을 줄여 보자는 취지다.

삼성물산 임직원 수는 2017년 말 5737명에서 2018년(3분기 공시 기준)에는 5688명으로 감소했다. 현대건설은 6797명에서 6405명으로 400여명이나 줄었다. 대우건설도 5804명에서 5410명으로 역시 400여명 감소했다. 대림산업은 7619명에서 7255명으로 감소했고, GS건설도 7099명에서 6880명으로 200여명 줄었다.

건설업체들은 자연 감소하는 인력을 추가로 채용하지 않고 있는데도 유휴 인력 활용에 애를 먹고 있다. 그렇다고 당장 구조조정을 하기도 어렵다. 노사 갈등뿐 아니라 일감이 늘어나면 다시 경력 기술직 인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림산업은 지난해 플랜트 부문 인력을 중심으로 유급휴가를 실시했다. 대우건설은 지난해 명예·희망퇴직을 실시하고, 해외 플랜트 부문에서는 2개월 단위의 유급휴직을 단행했다. 인원 감소는 공사 수주 실적과 무관하지 않다. 해외에서 대형 플랜트 사업 수주가 이어지지 않고, 국내의 굵직한 SOC 일감도 쪼그라들었기 때문이다. 주택경기 침체로 신규 아파트 분양 물량 감소도 임직원 일자리 축소로 이어졌다.

특히 주택사업이 움츠러들었다. 지난해 분양 물량은 28만 3000가구로 5년 평균 대비 27.5%, 전년 대비 9.3% 각각 줄었다. 인허가 물량도 전년 대비 15.2% 감소해 올해도 분양 물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해외 건설 수주액도 지난해에는 321억 달러 수주에 그쳤다.

몇몇 중견 건설업체들은 주택사업 부진 타개책으로 신사업 진출을 꾀하고 있다. 전통적인 건설업 외에 외식·유통·환경·에너지 사업에 손을 내미는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추진 중이다. 대우산업개발은 면세점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고, 우미건설은 첨단물류센터 사업에 뛰어들었다. 동부건설은 환경산업, 계룡건설은 제로에너지 사업을 신규 사업에 포함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9-03-20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