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운송 DX ‘화물잇고’ 이달 출시
스마트 배차·업계 첫 전용 내비도
“3년 내 매출 1500억… 이통사 2위로”
이달 출시되는 LG유플러스의 화물운송 중개 디지털전환(DX) 플랫폼 ‘화물잇고’ 관계자들이 16일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16일 간담회를 열고 화물운송 중개 서비스 ‘화물잇고’를 이달 출시, 3년 내 관련 매출을 1500억원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화물운송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연 37조원에 이르지만 전화 접수와 운송장 수기 작성, 프로세스 없는 배차 시스템 등 아날로그 요소가 남아 있어 비효율과 갈등이 지속돼 왔다.
화물잇고는 화물운송 단계별 시장 중 제조업체에서 상품을 수거하는 ‘퍼스트 마일’과 고객에게 배송하는 ‘라스트 마일’ 사이 ‘미들 마일’ 시장에 집중한다. 배차 시스템을 디지털로 전환해 스마트 배차 관리 및 실시간 운송 관제 서비스를 마련한다. 정산과 실적 관리 시스템도 운영하며 업계 최초로 화물차 전용 내비게이션도 탑재했다.
화물운송 DX 사업은 KT의 핵심 신사업 분야이기도 하다. 지난해 5월 인공지능(AI) 기반 화주·차주 실시간 매칭 플랫폼 ‘브로캐리’를 출시한 KT는 지난 4월에는 AI 기반 운송 관제·화물 추천 기능을 강화한 ‘브로캐리 2.0’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이동통신 가입자 수 기준 2위 KT를 바짝 추격하면서 ‘이동통신 3위 기업’ 이미지 지우기에 주력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 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2021년부터 LG유플러스는 4세대 이동통신(LTE) 가입자 수에서 KT를 앞서고 있으며 지난 7월엔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점유율 차이도 0.5% 포인트까지 좁혀졌다.
LG유플러스는 4G 가입자에서 KT를 추월한 만큼 이날 발표한 화물운송 사업과 5G 가입자 확대를 통해 시장 2위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이다. 5G 사업에서는 이달 초 데이터 사용량을 24GB 이하 구간에서 11종류로 촘촘히 나눈 선불형 온라인 요금제를 깜짝 출시하는 등 파격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2023-10-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