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 개인투자 한국 주식 매각

버핏, 개인투자 한국 주식 매각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기업 20곳 투자했다 한 곳만 남아”…멍거 부회장 “포스코,개선할 것 없는 최고 철강업체”

포스코에 투자하는 등 그동안 투자대상으로 한국 기업에 상당한 관심을 보여왔던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그동안 개인적으로 매입했던 한국 기업의 주식을 매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버핏은 자신이 회장으로 있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주총회 다음날인 2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소재 메리어트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개인적인 투자차원에서 6∼8년 전에 한국 기업 20개와 미국 기업 1개의 주식을 보유했었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이들 한국기업 중 1곳의 지분만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개인적인 투자 차원에서 매입했던 한국 기업 주식을 매각했다는 얘기다.

 버핏은 이어 “2002∼2004년 당시에는 한국 주식의 가격이 상당히 저렴했었다”면서 “(한국 업체들이) 재무적 측면에서도 지난 1997∼1998년 나타났던 일반적인 문제들을 개선해 신뢰를 회복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실 저렴한 주식은 언제라도 찾을 수 있다”면서 주가가 저평가돼 있고 재무구조도 양호하며 자체적인 전망도 있는 ‘1등급 기업’들을 찾을 수 있으며 그런 노력이 보상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당시 버핏의 한국 투자는 포스코에 대한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와 별도로 개인적인 투자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회견에서 버핏은 한국에 대한 추가 투자 가능성을 묻는 말에 대해 이처럼 과거 투자 사례만 설명했으며,침체에서 빠른 속도로 벗어나는 것으로 평가받는 한국의 경제상황에 대한 질문에도 “잘하고 있다”고만 언급했다.

 이는 지난해 기자회견 때만 해도 “한국 경제가 대단한 성과를 이뤄냈고 몇 개의 한국업체들을 투자대상으로 주시하고 있다”면서 한국에 대한 투자의지를 내비쳤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달라진 모습이다.

 하지만,버핏은 자신 소유의 회사인 버크셔를 통해서는 포스코의 주식을 추가로 사들여 큰 수익을 낸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최근 공개한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작년 말 현재 포스코 지분 5.2%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었다.

 찰리 멍거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포스코가 과거 일본으로부터 기술을 지원받았지만,세계 최고의 철강회사가 됐다면서 포스코의 경영은 더는 개선할 점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버핏은 인도와 중국 경제에 대해 극찬하면서 향후 방문 계획과 함께 투자 가능성을 내비치는 등 이머징마켓으로 부상하는 인도와 중국에 대한 관심을 표명해 눈길을 끌었다.

 버핏은 전날 주주총회에서 중국의 한 학생으로부터 질문을 받고 “중국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놀라운 경제권임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면서 “중국이 이런 잠재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다만,버핏과 멍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거품 가능성과 중국의 부패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인도에 대해서는 내년 3월에 인도를 직접 방문할 계획이라면서 인도에 대한 버크셔의 투자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오마하<美네브래스카주>=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