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민간재단 세워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양대웅 구로구청장

[기고] 민간재단 세워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양대웅 구로구청장

입력 2010-02-04 00:00
업데이트 2010-02-0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乃選鄕望(내선향망) 排日敦召(배일돈소) 採其公義(채기공의) 以定饒戶(이정요호)/勸分也者(권분야자) 勸其自分也(권기자분야) 勸其自分(권기자분) 而官之(이관지) 省力多矣(생력다의)’

이미지 확대
양대웅 구로구청장
양대웅 구로구청장
‘목민심서’ 진황육조편에 나오는 권분(勸分)에 관한 말이다. 뜻은 ‘향리에서 덕망 있는 사람을 뽑고 날을 잡아 모두 모이게 하여 그들의 공의(의견을 모아)로 요호(남을 도울 만한 부유한 가정)를 정한다. 권분이란 스스로 나누어 주도록 권하는 것이니, 요호로 하여금 스스로 나누어 주도록 하면 관(官)의 힘이 크게 덜어진다.’는 것이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서민복지를 위해 관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은 다를 바가 없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관에서 서민복지를 위해 아무리 애써도 틈새가 있기 마련이며 서민의 어려움을 모두 구제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분배와 형평에 맞춰진 규정에 따르다 보면 현실을 다 소화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각박한 예산에 맞춰 운영하다 보면 풍족하게 혜택이 돌아갈 수가 없다. 이런 면에서 항상 고민하게 하는 단어가 ‘권분’이다. 다산 선생은 권분을 권장하면서 수령이라면 당연히 요호를 찾아 권분하도록 하는 것을 보람으로 여겨야 한다고 말했다. 수령의 미덕이라고 하는 권분을 권하는 것이 지금도 통한다면 당연히 그랬을 것이다. 부자를 찾아 머리를 조아리며 나눌 것을 권하는 것이 뭐가 그리 어려운 일이겠는가.

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나눈 만큼 대가를 바라는 것이 세태다. 소위 나눌 만한 부자는 모두가 기업을 운영하는 등 실리에 밝은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닐지 몰라도 나눠주는 사람들의 기대심리를 잠재우는 일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권분하는 일을 도맡아 하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생겼다. 이 제도는 관에서 현금을 만지지 않아 비리도 없을뿐더러 기대심리에 대한 부담감도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민간 모금회이기에 적절히 분배할 것이란 기대가 있다.

해서, 지난달에 ‘구로희망복지재단’을 출범시켰다. 앞서 말한 문제점들을 극복하면서 지역의 복지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이 재단은 사회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복지욕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복지행정이 미치지 못하는 복지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뜻으로 만든 민간기구다. 재원도 민간자본이 주축이 되었다. 설립 초기이기에 기초 재원으로 공적자금이 일부 투입되었을 뿐 43만 주민이 누구나 기금출연에 참여할 수 있는 순수 민간기구이다.

앞으로 구로 희망복지재단은 지역의 복지수요를 조사할 뿐 아니라 정책 토론과 전문가의 정례 워크숍 등을 거쳐 복지시설, 자원봉사자에 딱 맞는 다양한 복지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또 기부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홍보와 캠페인도 하고 푸드마켓 운영 등 수익사업도 펼친다.

바로 이 재단의 미덕은 천시일반이며, 사업방향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구로구는 이 재단의 역할을 통해 복지의 사각지대가 해소되고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으로 끈끈한 정이 넘치는 곳이 될 것이다.
2010-02-04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