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석호정의 자연훼손 논란에 이의있다/최주혜 밝은사회국제클럽 한국본부 서울여성클럽 회장

[발언대] 석호정의 자연훼손 논란에 이의있다/최주혜 밝은사회국제클럽 한국본부 서울여성클럽 회장

입력 2010-08-09 00:00
업데이트 2010-08-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주혜 밝은사회국제클럽 한국본부 서울여성클럽 회장
최주혜 밝은사회국제클럽 한국본부 서울여성클럽 회장
서울 남산에 자리한 전통활터 석호정에는 다람쥐 가족이 살고 있다. 석호정 건물의 처마 끝에 둥지를 튼 다람쥐는 하루에도 서너 번씩 벽을 타고 내려와서 도토리를 먹고 간다. 다람쥐는 도토리가 놓여 있는 시전대(화살을 나르는 도르래) 앞에서 두 손 모아 도토리를 까먹고, 입에 한 움큼 집어넣은 뒤 석호정 처마 위로 재빠르게 올라간다.

석호정 사대 앞에는 계곡이 펼쳐져 있다. 소나무 위로 이름 모를 새들이 앉았다 가기도 하는데, 이곳의 주인은 다람쥐의 사촌인 청설모다. 덩치가 큰 이 녀석들도 도토리를 먹으러 시전대 앞을 어슬렁거린다. 그러나 청설모들은 석호정 건물 옆으로는 잘 오지 않는다. 소나무 위를 껑충껑충 뛰는 청설모는 남산 석호정의 바깥 주인이다.

이곳의 또다른 주인은 까치, 비둘기를 비롯한 날짐승들이다. 이중에서 제일 큰 주인은 장끼다. 그 소리가 독특해서 멀리서도 푸드득거리며 날아가는 모습을 가끔씩 목격할 수 있다. 지난겨울 눈이 많이 왔을 때 소나무가지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찢겨져 남산관리소에서 정리한 이후로 장끼 소리가 별로 들리지 않는다.

사대 앞에는 활을 쏠 때 말을 하지 말라는 뜻의 ‘습사무언(習射無言)’이라는 표석이 놓여 있다. 그래서 활터는 언제나 조용하다. 그러나 활터가 시끄러울 때가 종종 있다. 엄마, 아빠의 손을 잡고 남산에 올라온 어린이들이 자기도 한번 쏴보겠다고 소리를 지르는 경우다. 남산을 찾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사진기를 들고 있는 사람은 반드시 활쏘는 모습을 촬영한다. 궁금증이 많은 이들은 석호정 안으로 들어와 이것저것 묻는다. 또 하루에도 서너 번씩 외국인 관광객들이 이곳을 기웃거린다. 석호정에는 외국인 회원도 10여명이 있다.

활터는 우리의 전통을 배우고 익히는 도량이다. 석호정이 자연을 훼손한다는 이야기를 듣는데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다람쥐와 동물가족들이 어울려 지내는 석호정에 여름 소낙비가 빨리 지나갔으면 좋겠다.
2010-08-09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