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균미 칼럼] 미 대선, 승복 연설에 주목하는 이유

[김균미 칼럼] 미 대선, 승복 연설에 주목하는 이유

김균미 기자
입력 2020-11-04 20:24
업데이트 2020-11-05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대기자
아름다운 퇴장이냐, 혼돈이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과연 어떤 결정을 할까. 투표일 당일 밤 12시 넘어 판세가 어느 정도 굳어지면 승자는 환호하고 패한 사람은 깨끗하게 패배를 인정하는 ‘승복 연설’과 함께 단합, 통합을 강조하며 퇴장하는 전통을 따를까. 아니면 불복해 법정으로 갈까. 현재로서는 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플로리다 등 경합주에서 역전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바이든 후보는 현지시간으로 4일 0시 40분 지지자들에게 “승리로 가고 있다고 본다. 인내심을 갖고 결과를 기다리자”고 당부했다. 트럼프도 몇 시간 뒤 “우리가 이겼다. 국민에 대한 사기 선거”라고 주장하며 “연방대법원으로 갈 계획”이라는 입장을 발표했다. 양쪽이 승리를 선언하는 상황에서 미국은 가 보지 않은 길로 갈지도 모른다.

개표 방송 너머로 몇몇 장면이 겹친다. 트럼프 찬반 시위대와 혹시 모를 충돌과 약탈에 대비해 뉴욕과 로스앤젤레스 등 대도시 중심가의 백화점과 상가들 앞에 설치된 합판 방어벽, 그리고 경찰의 강경 진압이다. 이를 지켜보는 미국 유권자는 물론 세계도 불안하다.

때문에 선거 결과에 대한 승자와 패자의 입장 발표 시기는 중요하다. 낙담했거나 승리에 취해 있는 지지자들에게 메시지를 내놓는 것까지가 후보들이 지지자와 국민에 대해 져야 할 최소한의 책임이라 생각한다. 승자의 연설보다 패자의 승복 연설이 종종 더 감동적이다. 감정을 억제해 가며 패배를 받아들이는 겸손함과 품격으로 정치일선에서 퇴장하기 전 진심을 담아 하는 마지막 연설이기 때문이다.

1992년 이후 미 대선에서의 승복 연설을 찾아봤다. 2000년 앨 고어와 2016년 힐러리 클린턴, 그리고 2008년 존 매케인의 연설이 눈에 띈다. 정치적 의미가 컸던 선거였기에 승복 연설 또한 인상적이었다.

500여표 차로 낙선한 앨 고어 전 민주당 부통령은 플로리다주에서 재검표 소송까지 치렀지만 연방대법원이 재검표 중단을 결정하면서 조지 W 부시의 손을 들어 주자 승복했다. 선거 후 36일 만이었다. 고어는 12월 13일 패배 인정 연설에서 150여년 전 스티븐 더글러스가 선거에서 패한 뒤 에이브러햄 링컨에게 “당파성은 애국심에 자리를 내줘야 합니다. 나는 당신을 지지합니다, 대통령”이라고 한 일화를 인용했다. 자신도 이 같은 정신에 따라 비록 연방대법원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지만 국가 통합과 민주주의를 위해 결정을 받아들인다며 패배를 인정했다. 낙담한 지지자들에게도 “나라가 정당보다 먼저다. 싸울 때는 최선을 다하지만 경쟁이 끝난 뒤에는 함께한다. 그것이 미국이다”라며 부시에 대한 지원을 호소했다.

2016년 11월 10일 아침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지자들 앞에 서서 승복 연설을 했다. 패배 인정을 넘어 미 역사상 첫 여성 대통령의 문턱에서 좌절함으로써 실망한 젊은 여성, 어린이들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 “우리 선거운동은 한 사람, 이번 선거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면서 “미국이 생각보다 훨씬 더 분열돼 있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난 미국을 믿는다. 여러분도 나와 같이 생각한다면 이번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고 트럼프에게 나라를 이끌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번 실패는 고통스럽지만 옳다고 믿는 것을 위해 싸우는 것은 의미 있다는 것을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

2008년 버락 오바마에게 패한 뒤 존 매케인 공화당 후보도 “오바마와 다른 점은 여전히 많지만 최대한 돕겠다고 약속했다”면서 “나를 지지했던 모든 이들도 함께할 것을 요구한다”며 연설을 마쳤다.

이들이 던지는 메시지는 하나다. 소속 정당보다 나라, 분열 대신 통합이다.

차기 대통령 확정이 늦어지면 앞서 2000년 한 달 넘게 당선자 부재 상태를 경험했고, 불복 사태에 대비해 왔다고는 하나 미국과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다. 미국식 민주주의와 미국인의 선택에 대한 회의가 커질 수밖에 없다. 대선 결과에 불복하는 미국 사례가 형성된다면 다른 나라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트럼프가 재선에 성공한다면 바이든이 승복 연설에 어떤 메시지를 담을지 궁금하다. 반대로 트럼프가 패배한다면 그의 승복 연설도 궁금하다. 정치학자들은 21세기에 민주주의의 붕괴를 우려하고 있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정치사회적으로 분열된 시대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가 과제이다.
2020-11-0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