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머리를 이식할 수 있을까

[임한웅의 의공학 이야기] 머리를 이식할 수 있을까

입력 2019-04-22 17:40
업데이트 2019-04-23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임한웅 한양대병원 안과 교수
머리는 해부학적으로 사람 목 위의 부분을 뜻한다. 눈, 코, 입이 있는 얼굴과 뇌, 중추 신경을 포함해 사람의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구조의 머리를 이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의사들이 있다. 지난달 이탈리아 신경외과 의사 세르지오 카나베로와 중국 하얼빈의대 외과의사 런샤오핑(任曉平) 교수는 개와 원숭이의 끊어진 척수를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세계 최초로 인간의 머리를 이식할 수 있는 자신들의 능력을 입증하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특히 끊어진 척수 연결에 성공해 수술을 마친 원숭이와 개가 걸어다닐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머리를 이식하는 데 따른 심각한 윤리적 문제는 별개로 치더라도, 의학적으로 중추신경계 중의 하나인 척수를 끊었다가 다시 연결해 기능을 살리는 것은 현대 의학 수준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많다. 이에 해당 연구를 수행한 연구진도 척수 연결에 성공했다는 점을 강조해 사람의 척수도 끊었다가 재연결하는 데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중추신경계의 신경 연결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나 근거 없이 소설이나 영화에서 나올 법한 머리 이식을 주장하는 것은 유명세를 얻으려는 행동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머리뿐 아니라 눈 이식도 현대 의학 수준에서는 여전히 불가능하다. 여러 원인으로 시신경이 손상돼 시력을 잃은 환자들이 시신경 이식이나 눈 이식이 가능한지를 물어볼 때가 많다. 하지만 필자는 아직 현대 의학 수준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말씀드린다. 그러면 시력을 잃은 환자들은 많이 실망하시는데 아무것도 해 드릴 수 없다는 생각에 죄송한 마음이 들 때가 많다. 시신경을 이식하는 일은 척수를 다시 잇는 일만큼이나 불가능한 영역이다. 신경 연결에 대한 미지의 영역이 연구를 통해 지금보다 많이 알려지거나 개척됐을 때에야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마이너리티 리포트’라는 영화에서 주인공을 맡은 톰 크루즈가 다른 사람의 눈을 이식받는 장면이 나온다. 홍채 인식을 피하기 위해 눈을 이식받는 내용인데 비닐 주머니에 눈알을 들고 다니는 장면이 다소 충격적이었다. 영화를 볼 당시에는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홍채 인식을 해킹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다른 홍채 모양의 컬러 렌즈를 끼면 될 것을 굳이 눈 이식을 꼭 해야만 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속담과 같이 떠들썩한 소문이나 큰 기대에 비해 실속이 없거나 소문이 실제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같은 여러 매체들로부터 의료 정보나 광고가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현대 사회에서 특히 수술과 같이 의학적으로 중요한 판단을 내려야 할 때 허황된 광고나 근거 없는 주장에 쉽게 넘어가지 않도록 전문가의 도움이나 조언을 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2019-04-23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