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民·軍 합동조사 한 점 의혹도 남기지 말라

[사설] 民·軍 합동조사 한 점 의혹도 남기지 말라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천안함 참사 의혹을 풀기 위해 민군(民軍) 합동 조사단이 출범했다. 조사단은 해상 무기와 폭약 전문가, 선박 전문가 등 60여명이 참여하는 매머드급으로 구성됐다. 폭발이나 선박 등 분과위별로 현장에 투입돼 침몰 원인을 규명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실종자 구조 작업이 성과를 내지 못하자 유족이나 국민들의 실망은 더 커지고, 그에 반비례해 의혹은 산더미처럼 불어나고 있다. 혼란을 가중시키는 갖가지 의혹을 한 치의 의문도 남기지 않는 게 조사단의 막중 책무다. 군만 아니라 민간 전문가들도 참여한 취지가 바로 여기에 있다.

천안함 참사가 빚어진 이후 언론매체 등을 통해 제기된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해군의 주력 전투함이 무엇 때문에 순식간에 두 동강이 나서 침몰하고, 승조원 104명 중 46명이 빠져나오지 못했느냐 하는 원인의 문제다. 둘째는 여기서 파생된 사안으로 군이나 정부 당국이 애매하거나 오락가락하는 자세를 보이면서 야기된 의문들을 해소하는 일이다. 두 단계에서 의혹이 겹치고, 증폭되면서 국민 불신을 더 키우는 결과를 빚었다. 민주당이 벌써부터 김태영 국방장관과 김성찬 해군참모총장 해임 주장을 펴는 것은 정치 공세라고 치더라도 군 스스로가 자초한 측면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국민 모두가 납득할 수 있도록 조사단이 객관적이고도 명쾌한 원인 규명을 이끌어 내는 게 의혹 해소의 출발점이다. 이 과정이 투명해지면 두 번째 의혹은 자연 치유된다.

군은 어제 천안함 침몰을 둘러싼 의혹을 해명하는 자료를 내놓았다. 그러나 의혹을 모두 해소하기엔 미흡했다. 열상감시 장비로 촬영한 침몰 동영상 앞부분을 뒤늦게 공개한 것도 마찬가지다. 군의 특성상 기밀을 다 까발릴 수 없고, 여론이란 이름으로 강요해도 안된다. 하지만 이번 참사와 관련, 군은 국민들의 궁금증을 완전히 풀어주고 기밀 보안도 유지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교신일지 등 민감한 내용도 최소한은 국민에게 공개하고, 기밀은 국회에서 보고하면 될 것이다. 군은 정치권에 이를 약속하고, 야당은 그에 맞춰 정략적인 정치공세를 자제해야 한다. 일단은 합동조사단을 믿고 지켜볼 일이다.

2010-04-0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