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경평가 공개 인사투명성 높이는 계기로

[사설] 총경평가 공개 인사투명성 높이는 계기로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찰청이 지난 13일 본청 총경급 경찰관 중 업무성과 평가에서 상위 30% 안에 든 12명의 명단을 내부망과 언론에 공개했다. 각 지방경찰청도 같은 방식으로 우수한 총경을 내부망에 올렸다고 한다. 이는 조만간 발표될 경무관 승진과 보직인사를 앞두고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라고 한다. 승진에 따른 과열경쟁과 청탁관행을 이번에야말로 뿌리 뽑아야겠다는 게 경찰의 의지인 것 같다. 특히 이런 방식을 채택한 것은 인사권을 가진 경찰청장이 공정·투명한 인사를 위해 자신의 권한을 아예 공개석상에 내놓은 것이나 다름없다. 인사가 청탁이나 압력을 배제하고 다수가 수긍할 수 있는 평가결과에 의해 이루어진다면 권장할 만한 일이다.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경찰이 여러모로 신경 쓴 흔적도 보인다. 우선 평가 대상자에게 업무평가 기술서를 받아 경찰청 차장(위원장)과 치안감급 국장들이 위원으로 참여해 다중면접을 실시했다고 한다. 대상자들의 업무성격이 서로 달라 완벽한 등가성 지표를 만들기는 어려웠겠지만 나름대로 평가점수를 객관화하려는 노력이 있었다고 본다. 물론 일각에서는 30% 순위 안에 들지 못한 대상자들의 사기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은 있다. 그러나 사기 또한 공정한 인사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이 이상의 대안을 찾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문제는 이 방안을 외풍에 흔들리지 않고 얼마나 일관성 있게 추진하느냐에 달렸다고 본다.

경무관 승진은 낙타가 바늘구멍에 들어가는 것처럼 어렵다고 한다. 총경 490여명 중 불과 10여명만이 승진하니까 해마다 암투와 줄대기 관행이 이어졌다. 경찰은 이번 인사방식을 정착시켜 조직의 불신을 없애고 국민의 경찰로 거듭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승진 인사에서 경찰입문별 출신, 지역안배 등이 고려되겠지만 개별 평가의 근간은 철저히 지켜야 한다.
2010-11-1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