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어제 기자회견을 열어 정수장학회와 관련해 “더 이상 의혹을 받지 않고 공익재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이사진은 장학회의 명칭을 비롯해 모든 것을 잘 판단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최필립 이사장 등 이사진의 퇴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이들의 자진 사퇴를 압박한 모양새다. 이는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와 아무 관계가 없고, 자신이나 야당이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 발짝 더 나갔다고 하겠다. 사실 박 후보는 그동안 원칙적인 입장만 견지해 오다가 최근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 매각 문제가 불거지기까지 논란의 불씨를 더 키운 측면이 있다. 우리는 박 후보가 진작에 장수장학회의 면모 일신을 정면으로 거론하는 게 나았을 것이라고 본다.
무엇보다 정수장학회가 정치적 논란이 됐던 것은 현 이사진들이 박 후보 자신과 직간접으로 연결됐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의전비서관 출신인 최 이사장은 박 후보가 2005년까지 10년간 맡았던 이사장직을 물려받았다. 이런 특별한 연고로 인해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와 아무리 법적인 연결 고리가 없다고 강조해도 야당의 정치적 공세 표적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런 만큼 공익재단인 정수장학회를 박 정권의 인물들이 계속 운영한다면 정쟁의 도구가 될 수밖에 없다. 장학회가 5·16 직후 박정희 정권이 부산 기업인 김지태씨로부터 ‘헌납’받은 자산을 기반으로 설립된 만큼 박 정권의 어두운 그림자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는 최 이사장이 박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할 때 일찍이 물러났어야 했다고 본다. 이제라도 최 이사장을 비롯해 이사 5명이 자진 사퇴하는 것만이 공익재단의 설립 취지를 살리고, 박 후보에게도 부담을 덜어 주는 길이다. 5·16의 어두운 유산으로 비치는 정수장학회란 간판부터 바꿔 달고, 이를 운영할 이사진도 누가 봐도 중립적인 인물로 포진시켜야 한다. 무엇보다 박 후보 스스로 정서적 부분까지 포함해 장학회와 완전히 결별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나라의 운명을 가를 대선이 정쟁에서 벗어나 정책 선거로 전환될 수 있다고 믿는다.
무엇보다 정수장학회가 정치적 논란이 됐던 것은 현 이사진들이 박 후보 자신과 직간접으로 연결됐기 때문이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의전비서관 출신인 최 이사장은 박 후보가 2005년까지 10년간 맡았던 이사장직을 물려받았다. 이런 특별한 연고로 인해 박 후보가 정수장학회와 아무리 법적인 연결 고리가 없다고 강조해도 야당의 정치적 공세 표적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런 만큼 공익재단인 정수장학회를 박 정권의 인물들이 계속 운영한다면 정쟁의 도구가 될 수밖에 없다. 장학회가 5·16 직후 박정희 정권이 부산 기업인 김지태씨로부터 ‘헌납’받은 자산을 기반으로 설립된 만큼 박 정권의 어두운 그림자를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는 최 이사장이 박 후보가 대선 출마를 선언할 때 일찍이 물러났어야 했다고 본다. 이제라도 최 이사장을 비롯해 이사 5명이 자진 사퇴하는 것만이 공익재단의 설립 취지를 살리고, 박 후보에게도 부담을 덜어 주는 길이다. 5·16의 어두운 유산으로 비치는 정수장학회란 간판부터 바꿔 달고, 이를 운영할 이사진도 누가 봐도 중립적인 인물로 포진시켜야 한다. 무엇보다 박 후보 스스로 정서적 부분까지 포함해 장학회와 완전히 결별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나라의 운명을 가를 대선이 정쟁에서 벗어나 정책 선거로 전환될 수 있다고 믿는다.
2012-10-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