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장엔진 약화된 한국, 서비스산업에서 활로를

[사설] 성장엔진 약화된 한국, 서비스산업에서 활로를

입력 2013-06-28 00:00
업데이트 2013-06-28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2.3%에서 2.7%로 상향 조정했다. 추가경정예산 등 재정을 3분기까지 집중 집행하고, 발전시설과 사회간접자본(SOC) 등을 중심으로 1조원의 재정을 추가로 보강해 하반기 3% 성장을 회복하겠다는 복안이다. 8분기 연속 0%대의 저성장 흐름이 더 이상 이어져서는 곤란하다는 시각이다. 낙관적 전망에 그치지 않도록 성장 동력을 발굴해야 한다.

정부는 성장률 목표를 올려 잡은 이유에 대해 이미 발표한 정책들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세계 경제가 더 이상 나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위기 대응 준비를 해온 데다, 경기 사이클 주기로 볼 때 서서히 회복세를 보일 때가 됐다는 진단이다. 그러나 경제는 늘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날 수 있다.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뒷받침할 추가 대책은 없는지 잘 따져봐야 한다.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만 하더라도 경기 회복을 전제로 한 조치인 점을 들어 수출 등 부문에서 우리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진단도 있다. 그러나 벌써부터 성급한 조치였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은 어제 1분기 성장률을 1.8%로 확정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잠정치(2.5%)나 지난달의 수정치(2.4%)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어서 양적완화를 지속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출구전략의 시기와 속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가능성은 여전하다. 대외 리스크 관리를 일상화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경제의 성장 엔진을 꺼트리지 않기 위해서는 자생적인 회복 능력을 갖춰야 한다. 서비스산업에서 활로를 찾는 일이 절실하다. 서비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60%, 고용의 70%가량을 차지한다. 그런 만큼 이 부문에 일자리 창출과 기업들의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서비스업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다음 달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규제 혁파 없이는 서비스업 활성화는 요원하다. 의료·법률·교육 등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할 대책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3년째 국회에 계류 중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제정안도 조속히 처리해야 할 것이다.

2013-06-2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