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삶의 질

[사설]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삶의 질

입력 2015-10-19 17:56
업데이트 2015-10-20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국민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 여전히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5 삶의 질’ 보고서는 우리 국민이 느끼는 상대적인 박탈감과 함께 각박해진 우리 사회의 참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 5.33점, 30~49세 6.00점, 15~29세 6.32점 등으로 전 연령대가 OECD 평균(6.58점) 이하로 나타났다. 물론 삶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하는 것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지만 전 연령층에서 OECD 평균 이하인 사실을 보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공통의 과제로 인식하고 개선에 나서야 할 것임은 분명하다.

삶의 질이 낮은 원인을 비교적 정확하게 분석, 제시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귀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OECD는 물질적인 토대는 좋아졌지만 사회관계 등 정신적인 측면에서의 불만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우리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 증가율은 12.28%로 회원국 중 가장 높았고,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의 연평균 총소득 증가율도 7.3%로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근로자들의 남녀 소득 격차가 20%를 넘어 상대적인 박탈감이 큰 사회로 나타났다. OECD가 우리의 해결 과제로 소득 불평등을 제시한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가 사회연계지원 부문에서 OECD 회원국 가운데 꼴찌였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는 어려울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평가로 지난해 72.37점을 기록해 OECD(88.02점)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특히 50세 이상은 67.58점으로 나이가 들수록 삶의 만족도는 급락했다. 다른 나라들이 대부분 80∼90점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우리 사회가 얼마나 각박해지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주관적인 건강 만족도 또한 2009년 44.8점에서 2013년 35.1점으로 낮아졌다니 나이가 들수록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는 사회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다 자라나는 아이들 또한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하루 48분으로 OECD 평균 151분에 크게 못 미쳤다고 하니 부끄러운 마음이 앞선다.

삶의 질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안정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때 높아진다. 하루빨리 신뢰를 회복하고 행복한 삶이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를 비롯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15-10-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