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테러 경계하되 이슬람 혐오증은 막아야

[사설] 테러 경계하되 이슬람 혐오증은 막아야

입력 2015-11-19 18:08
업데이트 2015-11-19 19: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슬람 무장 테러단체를 추종하는 외국인 불법체류자가 그제 국내에서 처음 검거됐다. 파리 테러의 배후로 지목된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대한 지지 의사를 공개 표명한 우리 국민도 10명이나 파악했다고 국가정보원은 밝혔다. 온라인 등을 통해 IS와 연계하려 한 데다 직접 가담하려고 출국을 시도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올 초 시리아로 떠나 IS에 가담한 10대 소년 김모군의 선례를 떠올리면 가슴이 서늘해진다. 국정원은 또 출국 조치된 테러단체 가입자도 50여명이나 된다고 밝혔다. 테러가 지구 반대쪽의 먼 이야기가 아닌 셈이다.

실제로 IS는 대테러 대책에 공조하는 나라들을 ‘십자군 동맹’으로 분류해 해당국 국민들을 대놓고 위협하고 있다. 그 62개국 가운데는 우리나라도 포함됐다. 이번에 검거된 테러단체 추종자가 북한산에서 테러 조직의 상징 깃발을 흔들며 찍은 사진에 등골 오싹한 국민이 많을 것이다. 우리에게도 언제 어디에서 테러 만행이 터질지 안심할 수 없는 사정이라면 단단히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도 이를 단속할 장치는 엉성하기만 하다. 법령이 갖춰지지 않아 IS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내국인을 뻔히 보고서도 인적사항조차 파악하지 못한대서야 말이 되는가. 처벌 규정이 없어 테러를 추종하고 부추기는 세력을 단속할 수 없다니 난감한 노릇이다. 설마 하고 뒷짐 지고 있다가는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상황이 닥칠 수 있다. 발의된 지 14년이나 됐는데도 정파적 이해 논리에 묶인 대테러방지법도 하루빨리 제정돼야 한다.

테러 위험에 대비하는 제도망은 촘촘하게 짜야겠지만 그 과정에서 반드시 경계해야 할 것이 있다. 무슬림(이슬람교 신자)들에게 덮어 놓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는 맹목적 이슬람 혐오주의가 번져서는 안 된다. 최근 며칠 동안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무슬림들을 잠재적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국내에 거주하는 무슬림은 13만 5000여명이나 된다. 이들이 편견의 시선이 두려워 공공장소에 나가기 힘들어한다면 안타까운 일이다. 테러는 이슬람 교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IS는 극소수의 소외 집단일 뿐이며, 증오는 증오를 불러온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우리 곁의 소수 이주민을 이럴 때일수록 더 따뜻한 시선으로 보듬는 관용과 아량을 보여야 한다.

2015-11-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