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발 항공 입국제한 확산, 불필요한 출국 자제할 때

[사설] 한국발 항공 입국제한 확산, 불필요한 출국 자제할 때

입력 2020-03-01 22:16
업데이트 2020-03-02 00: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이 어제(현지시간) 코로나19의 확산을 우려해 한국의 대구 지역에 한정해 여행경보를 최고 단계인 ‘여행금지’로 격상했다. 미국인이 대구 이외의 한국을 여행할 것을 자제하라는 권고를 유지한 것이다. 우려하던 한국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입국제한 조치를 취하지는 않았다. 어제 오전을 기준으로 한국발 항공기의 입국을 제한하는 나라가 78개국으로 늘었다. 한국발 입국을 전면 금지하거나 일정 기간 막는 나라가 35개국이고, 입국 절차를 강화한 나라가 43개국이다. 코로나19 감염이 전 지구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팬데믹 상황이라 한국만 겪을 일은 아니지만, 지난달 18일 31번 확진환자가 나온 이후로 누적 확진환자가 100배로 늘어난 상황을 고려하면, 각국의 한국발 항공기의 입국제한 조치를 마냥 탓하기도 어렵다.

다만 이러한 시기에 자칫 해외에서 발이 묶이거나 오가지도 못하는 한국인들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외교 당국이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주문한다. 실제로 어제 새벽 2시 20분 이스탄불 공항을 출발해 인천공항으로 올 예정이던 터키 항공편이 돌연 취소되면서 세관·출입국·검역(CIQ) 구역에 한국인 47명의 발이 묶였다. 주이스탄불한국총영사관은 “전날 밤 10시 넘어서야 운항 취소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베트남 하노이 공항에서는 지난달 28일 입국한 한국민 100명 이상이 이틀째 공항과 병원 등에 강제 격리됐다. 베트남 교민들은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여권을 압수당해 아직 돌려받지 못했다”고 하니 과도한 강제격리로 볼 수밖에 없다. 외교 당국은 1차적으로 해당국의 과도한 조치에 대해 강력 항의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받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이 될 것을 우려한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생업 등에 꼭 필요하지 않다면 출국을 연기하거나 자제할 필요가 있다.

2020-03-0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