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소상공인, 작은 존재의 큰 힘/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

[기고] 소상공인, 작은 존재의 큰 힘/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

입력 2019-04-22 22:40
업데이트 2019-04-23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봉환 소상공인진흥공단 이사장
조봉환 소상공인진흥공단 이사장
지난달 30일 환경 캠페인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가 있었다. 1년에 1시간 소등하는 환경운동이다. 서울에서도 1시간 주요 건물의 불이 꺼졌다. 세계 188개국이 참여해 2.4t의 온실가스를 줄였다고 한다. 전 세계 작은 스위치가 모여 이루어 낸 결과다.

600만 소상공인. 우리의 경제를 지탱하는 기틀이다.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2600만명의 4분의1 수준이다. 소상공인이란 5인 미만 규모로 도소매업, 음식점업 등의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제조업의 경우 10인 미만까지 포함된다. 주변의 식당, 슈퍼, 편의점, 전통시장, 그리고 기계ㆍ금속을 다루는 소규모 업체들이 그들이다.

전국 현장에서 소상공인들을 만나고 있다. 1500여개 전통시장에서 매장을 지키는 분들, 전주 남부시장의 청년몰 젊은 상인들, 시장 모퉁이에서 반갑게 만나는 식당들, 이분들의 수고는 다 열거하기 힘들다. ‘문래동머시닝밸리’에서 하수처리시설의 금속 틀을 만드는 1인 업체 사장님, 베어링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가공하는 대표님까지 우리 제조업의 풀뿌리들이다. 이들이 없는 우리 경제는 상상하기 어렵다. 지금의 반도체, 자동차 기반을 가꾼 주역들이다.

요즘 600만 우리 소상공인들은 힘든 시기를 지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의 파고를 넘어서고 있다. 유통 환경도 급격히 바뀌고 있다. 오프라인이 줄고 온라인에서 채소, 과일을 사도 불편함이 없다. 하지만 오프라인 시장도 생기 넘치는 사람 사는 모습이 있어 좋다고들 한다. 더 살려야 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출범한 지 2년이 됐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 대책에서는 자영업·소상공인 분야를 독자적 정책 영역으로 선언했다. 태산을 향해 차근차근 시작해야 한다. 정부 정책에 따라 공단은 소상공인들이 매출을 확대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성장하고 고용을 확대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되도록 최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작은 존재’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시장도 시설을 새롭게 하고 문화, 지역 이야기 등 특색을 입혀 나갈 계획이다. 젊은 상인이 과감히 나서게 할 것이다. 전통시장과 현대화된 유통점이 한 공간에서 공존하는 방안을 확대할 계획이다. 구매·판매 협동화로 규모를 키워 나갈 것이다. 변화된 유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시도를 끊임없이 할 것이다. 영세사업자들이 제대로 된 대가를 받게도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이 많은 소상공인과 공단을 위해 지원을 부담해 주는 국민들께 드리는 최소한의 도리가 아닌가 한다.
2019-04-23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