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반도체 인력 양성: 열정과 냉정 사이/김동욱 충남대 전파정보통신공학과 교수

[기고] 반도체 인력 양성: 열정과 냉정 사이/김동욱 충남대 전파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입력 2022-07-11 20:30
업데이트 2022-07-12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욱 충남대 전파정보통신공학과 교수
김동욱 충남대 전파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학의 반도체 인력 양성이 화두다. 대통령이 인력 양성을 교육부에 지시한 이후 전국 대학에 ‘반도체 바람’이 불고 있다. 30년을 반도체 소자와 회로 개발에 몸담아 온 필자로선 무척 반가운 일이지만, 걱정도 한가득이다. 열정이 세상을 삼킬 듯 휘몰아칠 때일수록 현실을 냉정한 시선으로 바라봐야 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를 보면 2020년 기준 반도체 인력은 연간 1621명이 부족하고 학사 이상 인력 부족도 대략 411명 정도로 추산된다. 현재 반도체 산업성장률과 매년 전국 대학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관련 학과 졸업생이 650명 정도임을 고려하면, 인력 수급 불일치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반도체 계약학과를 늘리고 반도체 관련 학과 신설 및 정원 증원 등 방안이 나온다. 학사 인력 배출에는 4년, 석박사 인력은 이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들을 양성할 신규 교수 자원은 제한적이다. 계약학과는 기업 재정지원과 취업 연계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방식이라 기업 재정지원이 중단되거나, 취업이 원활하지 않으면 학과 존폐가 위협받는다.

다행히 현재 대학 교육체계에서 답을 찾아낼 수 있을 듯하다. 반도체학과 또는 그와 유사한 학과명으로 모여 있지 않을 뿐이지 물리학과, 신소재공학과, 전자공학과 등에서 반도체 분야 교수들이 열심히 연구하면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많은 대학이 운영하는 ‘마이크로디그리’(또는 나노디그리) 학위과정 제도를 활용하면서 현재의 문제점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학과 학생들이 전자공학과에서 만든 반도체 소자 설계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이수하면서 물리학과 전자공학을 접목시킨다. 이런 각각의 마이크로디그리 과정을 엮어 ‘모듈형 반도체 연계전공’을 만들면 여러 분야의 학생들이 반도체를 복수 또는 부전공으로 이수할 수 있다.

반도체 기술이 발달할수록 장비 가격이 비싸지는데, 대학은 이런 장비를 갖출 여력이 없다. 충남대를 비롯한 전국 국가거점국립대에 교육용 반도체 팹을 설치하고 지역 대학생들에게 다양한 반도체 공정교육을 제공하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반도체는 지속적인 투자와 기다림이 필요한 분야다. 지금 불고 있는 반도체에 대한 열정이 꽃을 피우지도 못한 채 식어버리지 않도록, 반도체 인력 양성이 현 정부를 넘어 다음 정부에서도 이어지도록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우리에겐 지금 냉정한 사고가 필요하다. 정부의 의지는 확인했고, 대학들의 열망도 확인됐다. 전국 여러 대학이 가진 반도체의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도록 세밀하게 준비했으면 한다. 향후 50년의 미래를 위해서.
2022-07-12 2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