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의 사회면] 토큰을 웃돈 내고 사던 시절

[그때의 사회면] 토큰을 웃돈 내고 사던 시절

손성진 기자
입력 2019-09-01 17:32
업데이트 2019-09-02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토큰제를 시행착오라고 보도한 기사(매일경제 1978년 10월 17일자).
토큰제를 시행착오라고 보도한 기사(매일경제 1978년 10월 17일자).
서울에서 토큰(주화 승차표)이 처음 나온 것은 1977년 12월 1일이었다. 최초의 일반용 토큰은 황동(구리와 아연의 합금, 놋쇠)으로 만들어 누런색을 띠었고 학생용은 양백(구리, 니켈, 아연의 합금)이 재료로 은백색이었다. ‘토우컨’, ‘버스 쇠표’라고도 불렀다.

토큰을 도입한 이유는 현금 지불의 번거로움을 덜자는 것이었다. 더 큰 이유는 이른바 ‘삥땅’ 방지였다. 그러나 토큰 도입 후에도 삥땅은 사라지지 않았다. 토큰을 현금과 바꾸면 그만이었다. 서울에서 안내양 6명이 구속됐는데 이들이 1년 동안 훔친 토큰은 무려 60만개로 현재 가치로 6억원이 넘었다(경향신문 1982년 9월 8일자).

다른 문제도 많았다. 인상철이 다가오면 토큰 판매소는 장사진을 이루었다. 버스요금 인상률이 40%가 넘던 때여서 사재기를 하면 이득이 컸다. 토큰이 동나 ‘토큰 없음’이라는 글씨를 써 붙인 판매소는 흔히 볼 수 있었다. 버스조합 집계에 따르면 발행한 토큰의 90%가 사장되고 10%만 유통됐다(동아일보 1979년 4월 20일자). 이를 막기 위해 당국은 요금을 올릴 때마다 토큰의 색깔을 바꾸었다.

학생 토큰 구하기는 ‘하늘의 별 따기’였다. 학생들은 한 달치를 한꺼번에 구입하기도 하는 데다 가격이 싼 학생용 토큰을 사용하는 어른들도 더러 있었다. 귀한 학생 토큰은 나오기가 무섭게 다 팔려 버려 ‘반짝 토큰’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이를 악용해 학생 토큰을 사 모아 웃돈을 받고 파는 악덕 노점상이나 행상까지 생겨났다. 1979년 초 서울에서 학생 토큰 값은 35원이었는데 노점상들은 웃돈을 받고 38~42원에 팔았다.

말썽이 끊이지 않자 당국은 1979년 5월 1일부터 학생 토큰을 회수권(종이 승차권)제로 바꾸었다. 회수권은 처음에는 초등학생, 중고생, 대학생용으로 나뉘어 있었다. 1990년 1월 1일부터는 대학생 회수권도 없어져서 대학생들도 일반요금을 내게 됐다. 어떤 학생들은 10장짜리 한 묶음을 11장으로 교묘하게 잘라서 사용하기도 했는데 회수권 크기가 작아서 잡아 내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회수권은 몇 년 후부터 크기가 조금 커지게 된다. 토큰과 회수권은 문방구나 구멍가게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도 있었던 요긴한 존재였다.

회수권은 사실 그전에 1950, 60년대에도 사용됐다. 전차 회수권(전차표)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있었다. 서울에서는 1954년 11월 15일부터 학생용, 통근용, 보통용 버스회수권을 판매한 일이 있다. 1996년 버스카드의 출현으로 토큰제는 1999년 10월 1일 완전히 폐지됐다. 회수권은 서울에서는 2007년 무렵 완전히 사라졌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9-09-02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