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미운 정/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미운 정/최광숙 논설위원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5-11-04 18:24
업데이트 2015-11-04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운 정 미운 정’ 드는 사이는 부부만이 아니지 싶다. 취재원과 기자 사이도 ‘고운 정 미운 정’이 쌓이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차이는 있다. 부부는 서로 콩깍지가 씌어 결혼하다 보니 고운 정으로 시작해 미운 정이 든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취재원과 기자는 미운 정으로 시작해 고운 정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오래전 한 중앙 부처를 출입할 때 일이다. 어느 날 A 국장이 해준 얘기는 한창 이슈가 되던 문제여서 ‘특종’이지 싶어 저녁 늦게 다시 보충 취재했다. 그런데 다음날 눈치 빠른 A 국장은 내가 기사를 쓰기 전에 발 빠르게 보도자료를 냈다. B 국장은 기삿거리를 주고는 내가 출장 간 사이 다른 기자한테 그 기사를 주는 ‘이중 플레이’를 했다.

당시는 너무 화가 나서 이들과는 한동안 소원하게 지냈다. 치기(稚氣)와 억하심정(抑何心情)으로 이 부처를 의도적으로 비판하는 기사를 쓴 적도 있다고 지금 고백한다. 하지만 두 사람이 공직을 떠난 뒤에도 서로 연락하며 지낸다. 도울 일이 있으면 진심으로 챙겨 주는 사이가 됐다. 나쁜 감정이 도리어 좋은 인연을 맺어 준 셈이다. 미운 정이 더 깊다더니 맞는 말이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11-0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