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도시의 맹꽁이/손성진 논설주간

[길섶에서] 도시의 맹꽁이/손성진 논설주간

손성진 기자
입력 2017-07-09 22:22
업데이트 2017-07-09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쓰레기 매립장이었던 공원에 낯선 양서류의 울음소리가 들린다. 소리가 보통 큰 게 아니어서 작은 오리 울음소리 같다. 전기차 기사가 짝을 찾는 맹꽁이 소리라고 일러 준다. 그러고 보니 차 이름도 맹꽁이 전기차다.

도시에서는 개구리 소리도 듣기가 쉽지 않은데 멸종위기 2급종인 맹꽁이가 서식한다니 신기하기도 하다. 맹꽁이는 개구리와 달리 물갈퀴가 없다. 산란기 외에는 땅속에서 산다. 개구리는 잘 뛰지만 맹꽁이는 다리가 짧아 거의 기어다닌다고 한다. 좀 답답한 사람을 ‘맹꽁이’라고 놀리기도 하는데 둔한 움직임 때문일 것이다.

사오십년 전에는 도시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뱀, 개구리, 도마뱀, 족제비, 박쥐, 제비, 두더지 같은 동물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인간의 환경파괴로 이제 시골에서도 이런 동물들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 그래도 환경을 복원하려는 작은 노력이 서울의 습지 여러 곳에서 맹꽁이 같은 사라진 동물들을 되살렸다. 인간만이 사는 세상은 절대 가능하지 않다. 인간이 늦게라도 잘못을 깨달으니 동물도 인간에게 마지막 공존의 기회를 준 것은 아닐까.
2017-07-10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