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기다림의 미학/박현갑 논설위원

[길섶에서] 기다림의 미학/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9-05-05 23:16
업데이트 2019-05-06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로 생긴 동네식당에 들렀다. 메뉴를 고민하다 국밥을 시켰다. 바람 불면 남자가 만든 국밥이 그리워진다는 소개문구도 좋았고 뚝배기 속 고기도 먹음직스러웠다. 기다린 메뉴는 부실했다. 고기는 두세 점뿐이었고 그나마 너무 얇아 흐물거릴 정도였다.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다.

기다림은 희로애락이다. 먹고 싶은 음식이나 하고 싶은 일, 보고 싶은 사람을 기다리는 건 즐거움이다. 초등학생 시절 소풍 전날이면 늘 들뜬 기분이었다. 방학 또한 마찬가지였다.

중환자 수술실 앞을 서성이는 환자 가족들의 기다림은 불안감 그 자체다. 수술이 잘못돼도 민·형사상 책임을 병원에 묻지 않겠다는 수술 동의서는 환자 가족에겐 신체포기각서나 다름없다.

모레는 어버이날. 꽃집은 카네이션으로, 문구점은 카드로 손님맞이에 분주하다. 즐거운 기다림이다.

아련한 기다림이기도 하다. 중학교 때 어버이날 등굣길에 상여행렬을 봤다. 어머니 영정사진을 든 상주는 또래 아이였다. 마음이 아팠다. 그런데 부모가 된 뒤로는 수화기 너머 어머니의 들뜬 목소리를 느끼면서도 가뭄에 콩 나듯 전화안부가 고작이다. 그리움의 시간을 접고 있을 부모님의 기다림은 어느새 내 것이 되었다.

eagleduo@seoul.co.kr
2019-05-06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