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만추’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만추’ 단상/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11-10 20:18
업데이트 2020-11-11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입동(立冬)이 지나니 성큼 추위가 다가온다. 더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세월은 거꾸로 돌릴 수는 없는 법, 그 곱던 단풍 대신 낙엽에 취하는 시간이다. 나무들마다 잎사귀를 떨구며 나목(裸木)의 자유를 갈구하는 만추의 계절이다. 허무한 마음으로 가을의 자락에서 서성이며 겨울의 길목을 향해 가는 중이다.

봄철 ‘벚꽃 엔딩’을 듣는 것처럼 이 계절에 다시 보고 싶은 영화가 ‘만추’(晩秋)다. 낙엽이 바람에 흩날리는 늦가을, 머리까지 목도리로 감싼 여주인공의 고혹적인 표정이 선하다. 남녀의 복잡한 심리를 감각적인 영상미로 풀어냈다. 절망과 희망 사이에서 방황하는 인간 내면의 공허함을 멋지게 그려냈다.

젊은 세대에겐 중국 스타 탕웨이와 현빈의 영화(2011년)로 기억되지만 사실 1966년 거장 이만희 감독의 작품이다. 영화 배경도 안개가 자욱한 미국 시애틀로 옮겼지만 낙엽이 뒹구는 공원 벤치에서 하염없이 그를 기다리던 주인공의 모습은 변함이 없다. 중년 세대에겐 TV 드라마로 친숙한 탤런트 김혜자의 데뷔작 ‘만추’(1982년)가 인상적이다. 끝내 오지 않은 기다림 끝의 마지막 멘트가 압권이다. “그 사람 반드시 와. 꼭 와줄 거야….”

절망 속에서 희망을 건져 내려는 인간의 본성을 표현하고 싶었을까.

oilman@seoul.co.kr

2020-11-11 2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