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新국공합작/박홍환 논설위원

[씨줄날줄] 新국공합작/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5-11-04 18:24
업데이트 2015-11-04 1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24년 1월 20일부터 30일까지 중국 남부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서 열린 중국 국민당 제1차 전국 대표대회는 중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이벤트로 기록돼 있다. 쑨원(孫文)이 소집한 당 대회에서 리다자오(李大釗), 마오쩌둥(毛澤東)을 비롯한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이 대거 국민당 간부로 선출됐다.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이른바 제1차 국공합작이다.

5·4운동으로 촉발된 민주혁명의 완성을 위해 북방 군벌 타도가 급선무였던 국민당으로서는 어떤 세력과도 손을 맞잡아야 했고, 출범한 지 3년밖에 안 된 공산당으로서는 통일전선을 통해 세력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에 소련과 코민테른의 적극적인 지원이 주효했다.

1차 국공합작은 3년 반 만에 막을 내렸다. 쑨원이 사망한 후 국민당은 좌파와 우파 간 권력투쟁에 돌입했고, 1926년 권력을 장악한 장제스(張介石)가 본격적으로 반공 정책을 펴기 시작하면서 골이 깊어졌다. 마침내 1927년 7월 국공합작은 붕괴했고, 대륙은 10년간의 내전에 돌입했다. 중국 공산당으로서는 대장정으로 대표되는 ‘고난의 시기’이자 각지의 민중을 규합하는 ‘기회의 시기’이기도 했다.

1차 국공합작의 명분이 군벌 타파였다면 2차 국공합작은 항일(抗日)이라는 명분을 내걸었다. ‘일본은 피부병, 공산당은 심장병’이라며 공산당부터 토벌한 뒤 항일전쟁에 나선다는 안내양외(安內攘外) 정책을 고수했던 장제스는 이른바 ‘시안사변’ 이후 일본과의 전쟁에 나서라는 여론에 떼밀려 공산당과 손을 맞잡을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1937년 9월 마침내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됐다.

항일전쟁으로 뭉치긴 했지만 양측의 계산은 달랐다. 일제의 패망 이후 권력을 쥐기 위한 막후 샅바싸움이 거칠게 이어졌다. 마침내 1945년 항일전쟁 승리 이후 또다시 피비린내 나는 국공 내전이 벌어졌고, 국민당은 1949년 대만으로 패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로부터 66년, 국민당과 공산당 간의 이른바 ‘신(新)국공합작’ 기운이 물씬하다. 마침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馬英九) 대만 총통이 분단 이후 처음으로 오는 7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2008년 이후 국공 영수회담은 여러 차례 있었지만 현직 정상 간의 회담은 처음이다. 이번 합작은 ‘국민당 구하기’ 성격이 짙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총통 선거를 앞두고 있는 대만에서는 야당인 민진당 차이잉원(蔡英文) 후보가 국민당 후보를 크게 앞서고 있다.

중국에 적대적인 민진당의 집권을 막아야 하는 시 주석과 양안 관계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국민당 지지 세력을 규합하려는 마 총통의 계산이 딱 맞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월등한 위치(1차)에서 대등한 위치(2차), 그리고 이젠 열등한 위치로 전락해 국공합작을 고대하는 국민당의 서글픈 현실이 읽힌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5-11-0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