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어느 정도 버거워야 결과가 좋은 삶과 공부의 역설/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열린세상] 어느 정도 버거워야 결과가 좋은 삶과 공부의 역설/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입력 2018-09-02 22:30
업데이트 2018-09-02 22: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풍요로운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요건이 있다. 좋은 생활 습관,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기,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 등이다. 이들은 저절로 만들어지고 유지되지 않는다. 이들의 가치를 깨닫고 노력을 기울여야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발전한다. 한 가지 요소를 더 추가하자면 공부다. 우리 사회를 옥죄는 대입과 취업 혹은 그 밖의 줄 세우기를 위한 경쟁적 공부가 아니라 즐거움, 호기심, 그리고 성장을 위한 공부다. 공부를 통해 얻은 지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우리의 생각은 삶의 지평을 넓히고 깊이를 더해 준다.
이미지 확대
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그런데 한국 사회에서의 삶은 풍요로움과 멀어지고 있다. 왜일까? 한 이유는 빈부 차이가 커지면서 절대 다수의 사람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기 때문에 이들 요소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어서다. 경제적으로 어려우면 그만큼 삶을 주도적으로 영위하기 어렵다. 경제적 어려움이 크지 않은 사람들 가운데도 적지 않은 사람들은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발전시키려고 충분히 애쓰지 않는다. 그 대신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오락이나 편안함의 유혹에 지배돼 살아간다. 적절한 휴식과 오락은 에너지를 재충전하게 해 주지만 지나치면 이에 중독되거나 아니면 공허함에 빠지기 쉽다. 답답한 삶을 변화시키려고 모종의 시도를 해 보기도 하지만, 대개 꾸준히 지속하지 못하고 다시 평소 상태로 되돌아간다. 삶의 역설은 편안하고 즐거운 삶에서는 공허함을 느끼기 쉽고, 수많은 역경 속에서 목표를 추구하고 의미를 만들어 갈 때 진가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이다.

공부도 이 도식에 들어맞는다. 쉽게 배운 내용은 쉽게 사라지고, 어렵게 공부하면 잘 기억하고 더 잘 활용하게 된다. 이를 보여 주는 실증적 증거는 ‘시험효과’다. 일군의 학생들로 하여금 강의를 듣게 한 다음 3일 후에 그중 반은 강의 내용을 복습하게 하고 나머지 반은 강의 내용에 대해 시험을 보게 했다. 1주일 후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문제로 최종 시험을 보면 중간에 시험을 본 학생들이 복습을 한 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받는다.

그런데 정작 학생들은 시험이 이렇게 효과적인지를 모른다. 중간에 복습이나 시험을 보게 한 직후에 최종 시험 결과를 예측하게 하면 복습을 한 학생들은 실제 점수보다 더 높게 예측하고 시험을 본 학생들은 반대로 더 낮게 예측한다. 학생들의 점수 예측이 실패하는 이유는 예측의 근거가 착각을 일으키는 느낌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복습을 하는 동안에는 이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보기 때문에 쉽게 느껴지는 데 반해 시험을 볼 때는 기억해 내려고 애쓰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진다. 따라서 공부를 잘하려면 느낌에 따르는 대신 시험을 보는 것과 같이 더 효과적으로 입증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중간 시험을 보면 왜 최종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을까. 이를 알아보려고 중간에 시험을 보거나 복습을 하게 한 다음 그 활동이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0에서 100까지의 평가하는 실험이 수행됐다. 그 결과 복습을 할 때보다 시험을 볼 때 더 힘들어했는데, 힘들어하는 정도만큼 최종 시험 점수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힘들어하는 정도를 최종 시험 점수에서 빼고 나면 시험을 볼 때와 복습을 할 때 간의 차이가 사라진다. 이 결과는 시험 효과가 단지 중간에 시험을 보았기 때문이 아니라 시험을 보는 동안 들인 노력 때문에 초래된 현상임을 알려 준다. 요컨대 애를 쓴 만큼 실력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시험효과는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는 유클리드의 통찰을 심리학 실험으로 확인해 준 셈이다. 머리를 쓰지 않으면서 머리가 좋아질 수 없다. 따라서 잘 가르치는 사람은 강의를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적절하게 어려운 수준의 과제를 제시해 학생들이 생각하도록 수업을 진행하고, 머리를 써서 답할 문항으로 평가하는 사람이다. 단지 변별력을 높이려고 이리저리 꼬아서 복잡하게 만든 문제가 아니라 몇 시간 혹은 며칠 동안이라도 생각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제로 학생들로 하여금 지적 성장을 경험하게 해야 한다. 깊게 고민하는 가운데 성장을 경험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 청출어람은 시간문제다.
2018-09-03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