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美 금리인상 우려 지속…다우 1.00% 하락 마감

뉴욕증시 美 금리인상 우려 지속…다우 1.00% 하락 마감

입력 2015-11-10 08:54
업데이트 2015-11-10 08: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우려가 지속된 데 따라 하락했다.

9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9.85포인트(1.00%) 하락한 17,730.4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0.62포인트(0.98%) 내린 2,078.5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1.82포인트(1.01%) 하락한 5,095.30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하락폭을 키웠다.

미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진 것과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세계 성장률 전망치 하향이 지수를 끌어내린 요인이 됐다.

시장에서는 지난주 발표된 10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연내 기준금리 인상 기대가 상당히 높아진 상황이다.

개선된 지표 발표에 이어 Fed 위원들의 연설도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이날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의 에릭 로젠그렌 총재는 경제 개선이 예상대로 이뤄진다면 12월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는 미국 뉴포트 카운티에서 열린 한 상공인 모임에서 “경제가 예상대로 진전되는 한 12월에 기준금리 인상이 적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로젠그렌 총재는 “최근 지표가 긍정적이라는 점을 보라”며 “지표들은 경제의 진정한 개선을 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지난 주말 “(Fed가 취해야할) 적절한 다음 단계는 점진적인 금리 인상 과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해서는 경제 지표가 “그 시점(the when)”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12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70%로 반영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이 1.4%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금융업종과 기술업종이 1% 이상 내리는 등 전 업종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중에서는 캐터필러와 쉐브론이 각각 2.6%와 1.8% 하락하는 등 대부분 종목이 내림세를 보였다. 애플도 0.4% 하락했다.

OECD가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한 것도 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이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52%) 이래로 최악인 2.9%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 3.1%에서 5개월 만에 0.2%포인트 내렸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3.8%에서 3.3%로 낮췄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0%에서 2.4%로 올렸지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8%에서 2.5%로 내렸다.

OECD는 2017년 중국 성장률은 6.2%까지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어닝스 스콧의 닉 라이치 대표는 “증시는 성장률 약화를 반영하며 하락세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에드워드 존스의 케이트 원 스트래티지스트도 “글로벌 성장 우려와 OECD 발표가 오전 증시 하락을 이끌었다”고 진단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지난 10월 미국의 고용추세지수(ETI)는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콘퍼런스보드는 10월 고용추세지수가 전월 수정치 128.65보다 0.7% 상승한 129.48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4.1% 높아졌다.

다만, 뉴욕연방준비은행은 10월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혼조세를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은행은 소비자기대 조사에서 소비자들의 향후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율이 전월의 2.73%에서 2.82%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반면 3년 동안의 기대 인플레율은 전월의 2.84%에서 2.78%로 낮아졌다고 전했다.

뉴욕유가는 중국발 수요 둔화 우려 속에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산유량 지속 증가에 따른 공급 우위 지속 예상으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지난 주말보다 배럴당 42센트(1%) 낮아진 43.87달러에 마쳐 4영업일 연속 떨어졌다.

미국 재무부는 240억달러 어치의 3년만기 국채를 입찰했다. 낙찰금리는 연 1.271%로 2011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 주요 증시도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2% 내렸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1.57%,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1.38% 하락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15.28% 오른 16.52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