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셔 미 연준 부의장 12월부터 ‘점진적 금리 인상’ 시사

피셔 미 연준 부의장 12월부터 ‘점진적 금리 인상’ 시사

입력 2015-11-20 08:34
업데이트 2015-11-20 08: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국 중앙은행중 한곳, 점진적으로 제로금리 벗어날 것”한·중·일의 수출주도 경제성과 “두드러져”…지속가능성엔 ‘두고 보자’

스탠리 피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부의장도 미국 기준금리가 곧 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19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연준에 따르면 피셔 부의장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 경제정책 콘퍼런스’에서 강연하며 “비교적으로 가까운 장래에 주요국가 중앙은행 중 한 곳이 점진적으로 제로금리 정책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피셔 부의장은 “우리가 (금리를) 움직일 때 시장과 (다른 나라)정부를 놀라게 하지 않도록 지금까지 모든 일을 해 왔기 때문에, 일부 국가 중앙은행에서는 한동안 ‘그냥 (인상을) 해라’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금융전문 매체들은 이런 피셔 부의장의 발언에 대해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이라고 해석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은 2008년 12월부터 기준금리를 0∼0.25%로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제로금리’ 정책으로도 불린다.

피셔 부의장의 발언은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지난달 정례회의 때 “다수의 참가자(FOMC 위원)는 고용시장과 물가 조건이 다음 회의(12월 정례회의) 때까지 대체로 충족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보였음이 지난 18일 발표된 정례회의록을 통해 나타난 뒤에 나왔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이 미국 국채선물 가격 동향을 바탕으로 산출하는 기준금리 인상 확률을 보면, 12월에 기준금리가 0.5%로 오를 확률은 이날 71.7%로 나타났다. 지난 9월 초 집계된 기준금리 인상 확률은 10%대 후반과 20%대 초반 사이에 머물렀다.

피셔 부의장은 이날 강연에서 “동아시아, 특히 중국과 일본, 한국의 두드러진 경제 성과는 세계 경제 역사상 유일하다고는 할 수 없더라도 두드러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피셔 부의장은 “앞으로의 세계경제 전개 방향이 아시아의 기적을 뒷받침해온 수출 주도 구조를 계속 허용할지, 아니면 나중에 그런 기간이 끝날지에 대한 해답은 더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야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