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프라이데이에 살만한 상품은 0.6% 불과”

“블랙프라이데이에 살만한 상품은 0.6% 불과”

입력 2015-11-27 09:14
업데이트 2015-11-27 09: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월에 가격 올리고 블랙프라이데이에 다시 낮추는 상술도

미국의 연중 최대 할인 판매가 이뤄진다는 ‘블랙프라이데이’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좋은 물건을 평소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확률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블랙프라이데이에 ‘세일’ 딱지가 붙은 가격표가 실제로는 허구에 가깝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상품 추천 사이트인 ‘와이어커터’의 상품 편집자인 J.D. 레빗에게 의뢰, 상품 가격의 연중 변화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블랙프라이데이의 실제 할인 폭이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품질과 환불정책 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온라인에서 판매 중인 3만4천여 개의 상품을 조사했더니 고작 0.6%에 해당하는 200여 개만 블랙프라이데이에 사는 것이 이득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레빗은 “블랙프라이데이엔 평소보다 상품 개수가 많을 뿐”이라고 잘라 말했다.

일부 제품은 11월 넷째 주 금요일인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둔 10월에 가격이 올랐다가 블랙프라이데이 다시 떨어져 사실상 눈속임에 가까운 추세를 보였다.

블랙프라이데이와 무관하게 계절에 따라 가격이 변하거나 아예 1년 내내 가격이 거의 그대로인 상품도 많았다.

아마존에 올라온 상품의 가격 변동을 추적하는 ‘캐멀캐멀캐멀닷컴’(camelcamelcamel.com)을 만든 대니얼 그린은 “블랙프라이데이 쇼핑은 다른 시기와 차별성이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들도 변화를 체감한 듯 블랙프라이데이까지 기다리지 않고 일찌감치 쇼핑에 나서는 분위기다.

AP통신에 따르면 전미소매협회(NRF)는 추수감사절 연휴 쇼핑객의 60%가 이달 10일부터 이미 쇼핑을 시작했다고 추정했다.

한 시장조사업체 보고서는 미국 소비자의 약 25%가 10월 31일 핼러윈데이 이전에 연휴와 관련한 쇼핑을 모두 마쳤다고 했다.

물론 미국에서 한해 가장 많은 쇼핑객이 몰리는 날은 여전히 블랙프라이데이다.

NRF는 이날 하루에만 9천970만 명이 쇼핑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NRF에 따르면 이번 주말 총 1억3천580만 명이 쇼핑에 나서 작년 블랙프라이데이 주말의 1억3천370만 명을 근소하게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