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도 간지럼 타고 간지러우면 웃음소리 낸다

쥐도 간지럼 타고 간지러우면 웃음소리 낸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6-12-22 11:35
업데이트 2016-12-22 1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일본 연구진 사이언스 온라인판 발표

 쥐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간지럼을 타며 간지럼을 태우면 웃음소리를 내는 것으로 밝혔졌다. 뇌 속에 간지럼을 느끼는 영역이 있고 이 영역의 활동은 놀이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베를린 훔볼트 대학의 미하엘 브레히트 교수와 이시야마 신페이 박사는 최근 이같은 연구결과를 미국 과학지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쥐를 간지럼 태우면서 뇌의 활동을 조사했다. 촉각에 관계하는 영역이 활발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질이는 시늉만 해도 같은 영역의 반응이 활발해졌다. 간지럼을 태운 쥐는 더 간질여 달라는 듯 사람의 손으로 다가오는 등 놀이를 하는 듯한 행동도 보였다.

반면 쥐를 높은 곳의 자세가 불안정한 발판 위에 올려놓고 밝은 빛을 비추면서 간질이자 웃음소리를 내지 않는 것은 물론 같은 영역의 뇌의 활동도 활발해지지 않았다. 쥐는 야행성이라서 어두운 곳을 좋아한다. 단순히 간지럼에 반응하는 게 아니라 분위기와 기분에도 좌우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간지러운 감각이 생존에 직접 도움이 되지는 않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의 포유류는 간지럼에 반응을 보인다. 이시야마 박사는 아사히 신문에 “간지러운 감각이 오랜 진화과정에서 보존돼 온 것은 인간이나 동물이 서로 접촉하고 놀기 위한 뇌의 작용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