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외교·안보분야 핵심 인사인 김기정 연세대 행정대학원장이 사실상 문 전 대표의 특사 자격으로 미국을 방문해 적극적인 문재인 알리기에 나섰다.
문 전 대표가 만든 연구소인 ‘국민성장’ 연구위원장이자 외교·안보 분야 핵심 인사로 꼽히는 김 원장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에서 열린 ‘한국 외교 정책의 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문 전 대표의 외교·안보관을 발표했다. 이 토론회는 차기 대선주자들의 대미 외교 및 안보 구상을 듣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문 전 대표 측이 주요 주자들 가운데 가장 먼저 참석 의사를 밝혔다. 김 원장은 이 토론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와 더 나은 동맹관계 구축을 위한 문재인의 외교 정책 방향과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원장은 “약자와 공감하고 실용적·합리적이며, 겸손하고 온건한 사람”이라고 문 전 대표를 소개하면서 문 전 대표가 “한·미 동맹에 대한 강한 신봉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2년 대선 당시 ‘반미면 어떠냐’고 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표를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는 “정치인 문재인은 노 전 대통령과 비슷한 점도 있지만,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태도는 (노 전 대통령에 비해) 상당히 점잖다고 본다”면서 “무엇보다 노무현 정부의 초반 파행에서 상당 부분 교훈을 받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관련해선 “정부와 정부 사이의 합의는 존중하지만 실제 배치는 다음 정부에 넘겨줬으면 좋겠다는 게 문 전 대표의 생각”이라며 “국민적 합의 등을 위한 검토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또 트럼프 정부가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위한 협상을 요구한다면 “기꺼이 협상할 의사가 있으며, 국익에 기반해 꼼꼼한 협상을 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가이 아리고니 미 국방부 동북아 담당을 비롯해 국무부와 재무부, 국제무역위원회(USITC) 등 연방정부 관계자들과 공화당 톰 코튼(애리조나) 상원의원의 패트리샤 보 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미 언론에선 AP통신과 공영방송 PBS 등이 취재했다.
지난 12일부터 4박5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중인 김 원장은 14일에는 미국외교협회(CFR)가 주관한 비공개 토론회에서 토머스 허버드 전 주한 미국대사 등 한반도 전문가 30여 명을 대상으로 발표했고, 13~14일 이틀에 걸쳐 연방 상·하원 외교위 전문위원들이 참석하는 토론회도 가졌다. 김 원장은 또 미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등과도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문 전 대표가 만든 연구소인 ‘국민성장’ 연구위원장이자 외교·안보 분야 핵심 인사로 꼽히는 김 원장은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에서 열린 ‘한국 외교 정책의 방향’ 토론회에 참석해 문 전 대표의 외교·안보관을 발표했다. 이 토론회는 차기 대선주자들의 대미 외교 및 안보 구상을 듣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문 전 대표 측이 주요 주자들 가운데 가장 먼저 참석 의사를 밝혔다. 김 원장은 이 토론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와 더 나은 동맹관계 구축을 위한 문재인의 외교 정책 방향과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원장은 “약자와 공감하고 실용적·합리적이며, 겸손하고 온건한 사람”이라고 문 전 대표를 소개하면서 문 전 대표가 “한·미 동맹에 대한 강한 신봉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2002년 대선 당시 ‘반미면 어떠냐’고 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표를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는 “정치인 문재인은 노 전 대통령과 비슷한 점도 있지만,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태도는 (노 전 대통령에 비해) 상당히 점잖다고 본다”면서 “무엇보다 노무현 정부의 초반 파행에서 상당 부분 교훈을 받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관련해선 “정부와 정부 사이의 합의는 존중하지만 실제 배치는 다음 정부에 넘겨줬으면 좋겠다는 게 문 전 대표의 생각”이라며 “국민적 합의 등을 위한 검토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또 트럼프 정부가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위한 협상을 요구한다면 “기꺼이 협상할 의사가 있으며, 국익에 기반해 꼼꼼한 협상을 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토론회에는 가이 아리고니 미 국방부 동북아 담당을 비롯해 국무부와 재무부, 국제무역위원회(USITC) 등 연방정부 관계자들과 공화당 톰 코튼(애리조나) 상원의원의 패트리샤 보 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미 언론에선 AP통신과 공영방송 PBS 등이 취재했다.
지난 12일부터 4박5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중인 김 원장은 14일에는 미국외교협회(CFR)가 주관한 비공개 토론회에서 토머스 허버드 전 주한 미국대사 등 한반도 전문가 30여 명을 대상으로 발표했고, 13~14일 이틀에 걸쳐 연방 상·하원 외교위 전문위원들이 참석하는 토론회도 가졌다. 김 원장은 또 미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등과도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