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수돗물 비강세척 60대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미국서 수돗물 비강세척 60대 ‘뇌 먹는’ 아메바 감염 사망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2-11 16:50
업데이트 2018-12-11 16: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돗물로 비강 세척을 해 온 60대 미국 여성이 ‘뇌를 파먹는(brain-eating)’ 아메바에 감염돼 사망한 것으로 전해했다. 시애틀에 거주했던 이 여성의 임상 사례는 이번 주, 국제 감염병학회가 발간하는 ‘국제감염병 저널(IJID)’에 실렸다.

CNN에 따르면 사망 당시 69세였던 이 여성은 축농증을 고쳐 보려고 비강세척 용기를 쓰기 시작했다. 그런데 보통 권장되는 살균 수 대신 수돗물을 썼다고 한다. 이 여성이 감염증으로 사망한 건 약 1년 후다.

비강세척 용기 ‘네티 포트(neti pot)’는 비강 알레르기나 염증을 완화할 목적으로 소금물 세척을 하는 데 쓰인다.

이 여성이 비강세척에 사용한 수돗물에 ‘발라무띠아 맨드릴레어리스(Balamuthia mandrillaris)’ 아메바 종이 있었을 것으로 담당 의료진을 보고 있다.

이 아메바 종은 뇌에 염증을 일으키는데 드물지만 일단 발병하면 치명적이다.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에 따르면 이 아메바 종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86년이다. 그런데 1993년 이후 미국에서만 적어도 70명이 이 아메바 종에 감염돼 숨졌고, 치사율도 89%에 이른다.

유사 아메바 종으로는 2011년 루이지애나에서 두 명의 감염증 사망자를 낸 ‘네글레리아 파울레리(Naegleria fowleri)’가 있다.

시애틀 여성의 경우 처음엔 콧마루에 빨간 뾰루지가 생겨 항생제 연고를 썼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 후 뇌종양이 의심된다는 소견에 따라 조직검사를 받기도 했다.

그러다가 수술로 두개골을 열어 뇌 조직을 검사하고 나서야 아메바 감염을 확진했다. CDC가 치료 약을 시애틀로 공수했으나 생명을 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여성의 아메바 감염원이 비강 세척기인지는 담당 의료진조차 확신하지 못한다. 이 여성의 집에 공급된 수돗물에선 아메바가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비강세척 후 코에 뾰루지나 발진이 생긴 환자는 아메바 감염을 의심해 보기를 희망한다고 의료진은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