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신문 “백신 나오기 전까진 한국 따라해야”

쿠웨이트 신문 “백신 나오기 전까진 한국 따라해야”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4-12 22:07
업데이트 2020-04-12 2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쿠웨이트의 자원봉사자들이 마스크를 쓴 채 4일(현지시간) 빈곤층에게 나눠줄 생필품을 상자에 담고 있다. 2020.4.7  로이터 연합뉴스
쿠웨이트의 자원봉사자들이 마스크를 쓴 채 4일(현지시간) 빈곤층에게 나눠줄 생필품을 상자에 담고 있다. 2020.4.7
로이터 연합뉴스
쿠웨이트 유력 일간지가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한국의 방역 모델이 다른 나라가 따라해야 할 최선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쿠웨이트 유력 일간 알카바스는 12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을 성공적으로 통제한 한국이 전 세계의 본보기가 됐다는 특집 기사를 내보냈다.

이 신문은 ‘한국은 전염병을 통제했고, 전 세계에 ’롤모델‘(본보기)을 제시했다’라는 기사에서 “전 세계가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고 최선을 다하는 가운데 이에 성공한 한국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라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로 광범위하고 신속한 감염 검사, 감염자 동선과 밀접접촉자 추적, 사실상 강제적인 자가격리 등을 꼽았다.

아울러 이런 광범위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자원봉사자의 헌신도 소개했다.

알카바스는 “3월 17일까지 한국은 27만 4000건을 검사했지만 발병 시기가 같았던 그때까지 미국은 2만 5000건에 그쳤다”라며 “그 결과 다른 나라에서는 감염자가 급증하는 반면 최근 한 주간 한국의 일일 신규 확진자는 50명 아래로 줄었다”라고 설명했다.

자가격리를 어기는 사례가 나와 우려가 커지자 한국 정부는 심층적인 검토 끝에 손목밴드(전자팔찌)를 도입했다면서 한국이 결정한 정책에 국제적 관심이 쏠린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영국 가디언 등의 보도를 인용해 “코로나19를 예방하는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는 한국의 ‘실험’이 현재로선 다른 나라가 따라 해야 할 최선의 방역 모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라고 평가했다.

12일 현재 쿠웨이트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234명(사망 1명)으로 이달 들어 4배로 증가했다.

쿠웨이트에서는 2월말 발병 초기엔 중동 내 최대 발병지인 이란을 다녀온 성지순례객이 주 감염자였지만 이후 유럽에서 귀국한 자국민과 외국인 근로자 집단숙소를 중심으로 환자가 늘고 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