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은행들, 홍콩보안법과 미국 제재 사이에 낀 난관 봉착

대형 은행들, 홍콩보안법과 미국 제재 사이에 낀 난관 봉착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7-10 11:15
업데이트 2020-07-10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럽 최대 은행 HSBC가 임직원의 10%에 해당하는 2만5000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사진은 HSBC 홍콩 지부 건물 모습. ⓒ AFPBBNews=News1
유럽 최대 은행 HSBC가 임직원의 10%에 해당하는 2만5000명을 감원하기로 했다.
사진은 HSBC 홍콩 지부 건물 모습.
ⓒ AFPBBNews=News1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을 남겨둔 미국의 ‘홍콩 자치법안’(Hong Kong Autonomy Act) 사이에서 글로벌 은행들이 줄타기해야 할 처지에 몰렸다고 블룸버그가 10일 보도했다.

중국의 홍콩보안법이 홍콩과 중국에 대한 적대적 행위나 제재 등을 포괄적으로 금지한 가운데 미국의 홍콩 자치법안은 홍콩보안법 시행에 관여한 중국 관리 등과 거래하는 은행들을 제재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은행들은 미국의 제재법안이 시행되면 이를 따르지 않을 수도 없지만, 무턱대고 제재에 동참하면 중국 측의 허가 취소 등 보복에 놓일 위험도 안고 있다.

특히 홍콩 사업 비중이 큰 HSBC와 스탠더드차터드(SC)는 물론 홍콩에 영업 거점을 두고 있거나 중국 사업 확대를 계획해온 JP모건체이스, 골드만삭스, 시티그룹 등은 이번 미·중 대결 과정에서 자칫하면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만큼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들 은행은 미국의 제재를 따르면서도 홍콩보안법을 위반할 가능성은 낮추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다.

이미 일부 은행은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는 고객 명단을 들여다보면서 거래 관계를 미리 끊는 것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