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분쟁의 국경선에서 울린 45년만의 총성 …“게임 체인저”

히말라야 분쟁의 국경선에서 울린 45년만의 총성 …“게임 체인저”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9-09 14:03
업데이트 2020-09-09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8월 말 중국과의 국경선에서 지뢰를 밟아 사망한 인도 특수군 소속 티베트 난민 중대장의 장례식이 7일 초글람사르 티베트 난민촌에서 진행되고 있다. 초글람사르 AFP 연합뉴스
8월 말 중국과의 국경선에서 지뢰를 밟아 사망한 인도 특수군 소속 티베트 난민 중대장의 장례식이 7일 초글람사르 티베트 난민촌에서 진행되고 있다. 초글람사르 AFP 연합뉴스
중국과 인도가 분쟁을 벌이고 있는 히말라야 국경지대에서 서로 상대방이 먼저 총격을 가했다고 비난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총성이 울린 것은 45년 만에 처음으로 양국 간 긴장을 날카롭게 끌어올리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군은 8일 인도 군대가 불법적으로 분쟁지 히말라야 국경을 건너와 순찰 병사들을 향해 “도발적인” 경고 사격을 가했다며 인도 측을 비난했다. 이에 중국군은 “대응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하지만 그 조치가 무엇인지는 분명히 하지는 않았다. 국영매체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중국 인민해방군은 “인도군이 실질통제선(LAC)을 불법적으로 넘어왔고, 인도의 움직임은 양국의 합의에 대한 심각한 위반”이라고 주장하며 “지역의 긴장을 일으키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인도 측은 중국 주장을 부인하면서 인민해방군이 LAC 근처에 있는 인도 초소로 다가와 “우리 군대를 겁주려는 시도로 하늘을 향해 수발의 총을 쏘았다”고 비판했다. 인도군은 성명에서 “인도 육군은 LAC를 넘은 적이 없고, 총격을 포함한 공격적인 수단을 사용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양측의 주장으로 보건대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총성이 울린 것은 사실로 보인다. 이곳에서의 총격은 45년 만이다. 1975년 인도군 4명이 동북부 아루나찰 프라데시에서 중국군의 매복 공격으로 목숨을 잃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이번 총기 사용과 관련해 “1975년 이후 평화를 유지하던 양국 국경에서 처음 일어난 일”이라고 말했다.

분쟁의 대상인 인도-중국 국경선 지역. BBC 캡처
분쟁의 대상인 인도-중국 국경선 지역. BBC 캡처
이같은 일촉즉발의 긴장은 전날 인도군이 자국 민간인 5명이 분쟁지 인근에서 중국군에 납치되었다며 발동한 비상이 긴장을 더했다. 인도 의원인 클렌 리지유는 이날 트윗에서 “중국군은 아루나찰 프라데시에서 행방불명된 청년 5명을 발견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인도 당국에 그들을 인수하는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경 상황은 위험한 교착상태로 들어가고 있다. 어느 쪽도 전쟁을 시작하고 싶지 않지만, 역시 어느 쪽도 물러서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뉴욕타임스가 지적했다. 뉴델리에 있는 정책연구센터의 전략연구 교수인 브라흐마 첼라니는 “조금씩 조금씩 중국은 인도 국경선을 잠식해 왔다”고 말한다. 자오 대변인은 또 “중국은 소위 말하는 아루나찰 프라데시를 결코 인정한 적이 없다”며 인도에 일격을 날렸다.

이에 맞춰 글로벌 타임스는 최근 사설에서 “중국은 인도보다 몇 배는 더 강하다”며 “우리는 인도가 미국과 같은 다른 강대국과 공모하여 중국을 다룰 수 있다는 인도의 환상을 깨부셔야 한다”고 호전성을 부채질했다.

인도와 중국은 1996년 분쟁지로 알려진 LAC에서 총기와 폭발물 사용을 금지하는 합의를 맺었지만 양국 병사들은 종종 충돌하고 있다. 지난 6월 인도 병사 20명이 중국군의 폭력에 사망했다. 지난달엔 인도군이 중국군이 1주일새 긴장을 도발했다고 비난했다. 이후 양측은 탱크와 전투기, 포대의 지원을 받으면서 수만명을 증원했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