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해도 돼”…뇌물 16억원에 두 아들 하버드생 만든 美 사업가

“못해도 돼”…뇌물 16억원에 두 아들 하버드생 만든 美 사업가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0-11-17 15:20
업데이트 2020-11-17 15: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펜싱으로 합격 대가로 ‘뒷거래’··· 코치와 함께 체포
코치 주택 시세 2배로 구입하고, 수도요금까지 내줘
사업가측 “모두 실력으로 들어간 것” 법정 공방 예고
하버드 대학 전경. AP
하버드 대학 전경. AP
미국 하버드대에 두 아들을 입학시키는 대가로 해당 대학 펜싱 코치에게 약 150만 달러(약 16억 6000만원)의 뇌물을 건넨 통신회사 사장이 코치와 함께 체포됐다.

CNN 등 미 언론에 따르면 매사추세츠주 검찰은 “하버드에 두 아들을 넣은 제 자오(61)와 하버드대 펜싱 코치 피트 브랜드(67)를 뇌물을 주고받은 혐의로 체포했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이 사건을 첫 보도한 보스턴글로브에 따르면 메릴랜드주에서 통신회사를 운영하는 자오는 2016년 브랜드 코치의 주택을 감정가의 2배인 약 100만 달러에 사줬다. 자오는 17개월 뒤에 해당 주택을 66만 5000달러에 처분해 32만 5000달러(약 3억 6000만원)의 손해를 봤다.

이후 브랜드는 대학 캠퍼스에서 가까운 아파트를 130만 달러에 얻었고, 자오는 아파트의 개조 비용으로 최소 15만 달러(약 1억 6600만원)을 건넸다. 자오의 차남은 2017년 하버드에 입학했다.

2013년에도 자오는 브랜드가 운영하는 펜싱 자선단체에 100만 달러(약 11억원) 상당의 기부를 약속했다. 같은 해 12월 큰 아들이 하버드에 합격했고, 직후 자오가 기부금을 냈다는 게 검찰 측의 설명이다. 큰 아들은 펜싱팀 주장으로 활동하다 2018년 졸업했다.

특히 브랜드는 2012년 자오의 아들들을 가르치던 고교 펜싱 코치에게 “(자오의) 아들들은 펜싱을 잘 못 해도 된다. 그저 그들을 뽑을 만한 동기가 필요할 뿐”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브랜드의 주택담보대출금을 일부 상환해주고, 브랜드 아들의 대학 학비도 대줬으며, 수도요금까지 내줬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자오 측 변호인은 “자오의 아들들은 고등학교 때 성적이 우수했고 국제무대에서 경쟁력 있는 펜싱 선수였으며 자신들의 능력으로 하버드대에 입학했다”라고 반박했다. 1999년부터 하버드 펜싱팀을 맡아온 브랜드는 보스턴글로브의 보도 후 지난해 7월 해임됐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