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의 北포탄 조달 이유 있었네…러군 포병 피해 가장 커

러의 北포탄 조달 이유 있었네…러군 포병 피해 가장 커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4-02-21 16:37
업데이트 2024-02-21 17: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연구원 연구진 분석…우크라는 드론 피해 커

이미지 확대
30일 밀블로거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채널은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 (러시아) 흑해함대 810근위해병여단 포병들이 북한의 122㎜ 포탄 도움으로, 다연장로켓시스템(MLRS)인 BM-21 ‘그라드’를 향해 전진한 적군에게 축하하를 건네고 있다”며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은 북한제로 추정되는 포탄을 발사 중인 BM-21 그라드를 배경으로 선 산타클로스 복장의 러시아 군인과, “러시아 프로스트 신부가 산타클로스 사슴에게 보내는” 죽음의 선물이란 글자가 틀린 철자로 적힌 파란색 로켓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2023.12.30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30일 밀블로거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채널은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전선에서 (러시아) 흑해함대 810근위해병여단 포병들이 북한의 122㎜ 포탄 도움으로, 다연장로켓시스템(MLRS)인 BM-21 ‘그라드’를 향해 전진한 적군에게 축하하를 건네고 있다”며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은 북한제로 추정되는 포탄을 발사 중인 BM-21 그라드를 배경으로 선 산타클로스 복장의 러시아 군인과, “러시아 프로스트 신부가 산타클로스 사슴에게 보내는” 죽음의 선물이란 글자가 틀린 철자로 적힌 파란색 로켓의 모습을 담고 있었다. 2023.12.30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2년에 걸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는 포병 전력이, 우크라이나는 무인기(드론) 전력이 상대적으로 피해가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전쟁이 지상전 위주로 전개되면서 대량 투입된 러시아 포병 전력이 우크라이나군 자폭 드론 등에 크게 당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군은 부족한 포·포탄을 북한에서 보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국방연구원(KIDA) 두진호 연구위원과 송지은 연구원은 21일 ‘KIDA 국방논단’에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주요 무기체계 피해율을 분석한 글을 게재했다. 이들은 2023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군 당국이 추산한 상대측 피해 현황 데이터를 활용해 피해율을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포병(13.40%), 무인기(11.92%), 기갑 및 기계화(4.99%), 헬기(1.45%), 공중자산(0.92%) 순으로 피해가 컸다. 우크라이나군은 무인기(11.48%), 포병(6.17%), 기갑 및 기계화(5.97%), 공중자산(3.37%), 헬기(2.15%) 순이었다.
이미지 확대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KIDA) 국제전략연구실장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KIDA) 국제전략연구실장
연구원들은 “러시아군의 포병 피해율은 우크라이나군의 대반격 작전 시점부터 작년 말까지 약 2.1배 증가했고, 무인기 피해량은 약 1.9배에 이른다”면서 “우크라이나의 무인기 피해량은 6월 이후 2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 기간 포병 피해량은 1.4배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 공통으로 무인기와 포병의 피해율이 여타 무기체계에 비해 매우 높다”면서 “이는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양측이 무인기 및 포병 체계에 의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우크라이나군은 포병 화력 운용 규모가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군에 압도적으로 열세였고, 동원할 수 있는 포병 전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군 포병 피해율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연구원들은 덧붙였다.

이에 따라 러시아 국방부는 개전 이후 무인기 생산량을 17배 가까이 확대했으며, 포병 탄약은 연내 25배 증산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군은 작년 12월 한 달간 약 5만 대의 FPV(영상송수신) 자폭 드론 생산에 이어 올해 100만 대가량을 추가하는 등 무인기의 기하급수적 공급을 통해 전쟁 장기화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연구원들은 전했다.

북한은 작년부터 현재까지 152㎜ 포탄과 122㎜ 방사포탄 등 수백만발,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및 북한판 에이태큼스(KN-24) 단거리 탄도미사일, 600㎜ 초대형 방사포 등을 러시아에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