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위안부 피해자 절규’ 보듬은 美 소도시 밀브레

‘日 위안부 피해자 절규’ 보듬은 美 소도시 밀브레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9-03-19 22:12
업데이트 2019-03-20 00: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의회, 위안부 피해자 결의안 채택…시장 “일본이 왜곡한 역사 알려야”

웨인 리 미국 캘리포니아주 밀브레 시장이 지난 12일 밀브레 시의회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과 선언문을 한인사회 관계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진덕·정경식 재단 김한일 대표, 김순란 재단 이사장, 릴리안 싱 위안부정의연대(CWJC) 공동의장, 주디스 머킨스 CWJC 회장, 리 시장, 줄리 탱 CWJC 공동의장.  김진덕·정경식 재단 재공
웨인 리 미국 캘리포니아주 밀브레 시장이 지난 12일 밀브레 시의회가 채택한 위안부 결의안과 선언문을 한인사회 관계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진덕·정경식 재단 김한일 대표, 김순란 재단 이사장, 릴리안 싱 위안부정의연대(CWJC) 공동의장, 주디스 머킨스 CWJC 회장, 리 시장, 줄리 탱 CWJC 공동의장.
김진덕·정경식 재단 재공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인근 소도시 밀브레 시의회가 일본군 성노예로 인권이 유린된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기억해야 한다며 위안부 피해자 결의안과 선언문을 채택했다.

18일(현지시간) 미 서부지역 한인사회 후원단체인 ‘김진덕·정경식 재단’에 따르면 웨인 리 밀브레 시장은 지난 12일 시의회에서 통과된 위안부 피해자 결의안을 재단 측에 전달한 뒤 “일본 정부가 왜곡하고 회피하고 있는 위안부의 슬픈 역사를 우리 세대가 잊지 말고 후세에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계 미국인인 리 시장은 “이 결의안에는 여성을 존중하고 성차별과 불평등이 사라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다”며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과를 요구했다.

인구 2만여명의 밀브레시는 2017년 9월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가 세워진 샌프란시스코 시내에서 약 20분 거리에 있다. 밀브레 시의회는 위안부 기림비를 건립하는데 공헌한 미 위안부정의연대(CWJC) 관계자들에게도 위안부 피해자 선언문을 전달했다. 김진덕·정경식 재단의 김한일 대표는 “일본의 끈질긴 방해에도 한국, 중국, 필리핀 등 13개국이 공동으로 참여해 미 대도시 최초로 기림비를 건립했다”면서 “이처럼 많은 나라의 커뮤니티가 하나가 돼 세운 동상은 그 유례를 어느 나라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9-03-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