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 없어”“두고 보자”… 미 VS 중러, 북극 경쟁 노골화

“권리 없어”“두고 보자”… 미 VS 중러, 북극 경쟁 노골화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5-07 22:10
업데이트 2019-05-08 0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중국해처럼 분쟁 지역 되기를 원하나” 폼페이오, 북극회의서 군 주둔·개발 견제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에 ‘북극에 어떤 권리도 없다’며 선을 그었고, 이에 중러는 ‘두고 보자’며 반발했다. 석유와 가스, 광물, 수산자원 등이 많은 북극 개발을 두고 세계 열강들의 힘겨루기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핀란드 로바니에미에서 열린 제17차 북극이사회 각료회의에서 작심한 듯 중국의 경제적·군사적·영토적 패권 행위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오직 북극 국가와 비(非)북극 국가만 존재한다. 제3의 범주는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다른 범주를 주장해도 중국은 (북극에 대해) 아무런 권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북극과 최단 거리가 900마일(약 1448㎞)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자신을 ‘북극 인접 국가’라고 규정하는 중국의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북극이사회는 미국과 러시아, 캐나다, 핀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 북극 연안 8개국으로 구성돼 있다. 중국과 인도, 한국, 싱가포르, 이탈리아, 일본 등은 옵서버 국가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북극해가 중국에 의해 군사 기지화되고, 영토 분쟁 지역이 된 남중국해처럼 되기를 원하는가. 북극 생태계가 중국의 어선 선단 조업과 규제받지 않은 산업활동에 의한 생태학적 파괴 위험에 노출되기를 원하는가”라고 반문한 뒤 “그 대답은 매우 명확하다”며 중국을 정면 비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러시아의 북극 재무장과 항로 개발도 견제했다. 그는 “러시아는 벌써 북극에 군화 자국을 남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가 소련 붕괴 이후 폐쇄했던 몇 개의 군사기지를 다시 가동하는 등 북극 지역 군사 주둔을 강화하는 것에 대한 견제 발언으로 외신들은 해석했다. 그는 이어 러시아의 북극 항로 개발을 언급하며 “북극이 황야라는 이유만으로 무법천지의 장소가 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폼페이오 장관의 선 긋기에 대해 가오펑 중국 외교부 북극특별대표는 “그(폼페이오 장관)가 힘의 경쟁을 말했다. 경쟁이라고. 누가 더 많은 친구를 얻는지 두고 보자”며 미국과의 경쟁을 예고했다고 AFP는 전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9-05-08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