玉 파편 주우려다… 미얀마 폐광석 붕괴 190여명 사망·실종

玉 파편 주우려다… 미얀마 폐광석 붕괴 190여명 사망·실종

입력 2015-11-22 23:02
업데이트 2015-11-23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민들 한꺼번에 몰려 참사

미얀마 북부 카친주에서 옥 폐광석 야적장이 무너지는 바람에 190여명이 사망하거나 매몰되는 참사가 발생했다.

22일 AFP, AP 등에 따르면 21일 오전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에서 북쪽으로 350㎞가량 떨어진 흐파칸트 지역의 옥 광산 인근 지역에서 300m 높이로 쌓여 있던 폐광석 야적장이 갑자기 무너져 주민 90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실종됐다.

피해 지역인 카친주 흐파칸트 당국 관계자 닐라 민트는 “이번 사태로 가옥 50여채가 산산조각이 났다”면서 “사고 현장에서 어제 79구, 오늘 11구 등 모두 90구의 시신을 수습했으며 100명 이상이 실종 상태”라고 전했다.

이날 사고는 주민들이 옥 파편을 줍기 위해 한꺼번에 옥 광산 채굴 과정에서 나온 폐광석을 높게 쌓아 올린 야적장 위로 올라가자 폐광석 야적장이 붕괴하며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카친주는 전 세계 옥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미얀마의 대표적인 옥 생산지로, 주민들은 채굴 과정에서 나온 옥 폐광석 더미 속에서 주운 옥 파편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옥 광산의 중심 지역인 흐파칸트는 개혁·개방 바람을 타고 옥 러시에 시달리고 있으며 해외 기업들이 들여온 캐터필러, 볼보, 고마쓰, 레브헤르 등 중장비에 점령당하다시피 한 상태다.

자원 남용을 감시하는 글로벌 위트니스는 지난 10월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 한 해 동안 대기업들이 미얀마에서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310억 달러(약 35조 8000억원) 이상의 값진 준보석을 캐내 가는 동안 주민들과 비공식 영세업체 광부들은 소량의 옥조각이나마 얻기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야적장 위로 올라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 1월에도 산사태로 30여명이 숨지는 참사가 일어났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1-2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