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송이 9만원 한국 포도, 중국인의 입맛 사로잡다

한송이 9만원 한국 포도, 중국인의 입맛 사로잡다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9-05-21 16:17
업데이트 2019-05-21 16: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산 샤인머스캣 포도. 출처:aT
한국산 샤인머스캣 포도. 출처:aT
앞으로 4년간 송이당 6~9만원의 한국산 샤인머스켓 포도 약 1200t 이상이 중국인의 식탁 위에 오르게 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한국 샤인머스켓 포도 재배 농가인 ‘산떼루아 영농조합’과 중국 과일 전문 바이어인 ‘러라(Lurra·樂拉)’가 4년간 국산 샤인머스켓 포도 약 2000만 달러 규모의 1200t을 공급하는 계약이 체결됐다고 21일 밝혔다. 샤인머스켓 포도는 껍질까지 한꺼번에 먹는 거봉 크기의 씨 없는 청포도로 씹을수록 특유의 망고향이 입안에 퍼져 일명 ‘망고포도’로도 불린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는 한 송이에 6~9만원 내외의 고가임에도 뛰어난 품질로 최근 고급 식품매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2017년 중국시장에 첫 상륙한 한국 샤인머스켓 포도는 2018년 중국 주요 신선식품 유통채널에 입점되며 주요 수출 품목으로 부상했다. 기존 주요 수출 품목인 거봉이나 캠벨 대비 4배 이상 수출가격이 높은 샤인머스켓 포도가 중국 포도 수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면서 포도 수출액도 전년보다 1886% 늘었다.

포도는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 가능한 유일한 신선과일 품목이나 기존 수출품목인 거봉이나 캠벨이 중국에서도 대중화되면서 점점 한국산의 인기가 감소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샤인머스켓의 등장으로 중국 고급 과일 시장에서 한국산 포도의 맛이 인정을 받으면서 700g 한송이에 3~9만원까지 하는 높은 가격에도 수출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농산물은 대부분 예외로 예외 품목으로 지정하여 점진적으로 개방중이다. 중국은 한국산 사과, 배, 딸기 등의 품질이 매우 높아 개방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경제 실물지표가 하락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지난 1~4월 한국의 대중국 투자는 전년보다 114.1% 증가해 독일의 101.1%보다 많은 세계 1위를 기록했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