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세 워런 버핏도 후회하는 20대 후반의 투자

90세 워런 버핏도 후회하는 20대 후반의 투자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8-30 15:12
업데이트 2020-08-30 15: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버핏이 귀띔하는 재테크 비결은 ‘므두셀라 기법’
WSJ, 90세 버핏 65세 넘어서 재산 90% 일궈
이미지 확대
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 워런 버핏은 그의 재산 90% 이상을 65세가 넘었을 때 축적했다. AP 자료사진
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 워런 버핏은 그의 재산 90% 이상을 65세가 넘었을 때 축적했다. AP 자료사진
30일로 만 90세가 된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가 천문학적인 부를 일군 비결은 뭘까. 그의 순재산은 820억 달러(9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된다.

주목할 만한 것은 ‘오마하의 현자’로 불리는 그는 재산의 약 90%를 65세가 넘어서 일군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 보도했다. 버핏은 WSJ과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나는 오래전에 ‘므두셀라 기법’을 추천받았다”고 설명했다. 므두셀라는 노아의 할아버지로,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최장수한 969년을 살았다고 한다. 버핏이 말한 므두셀라 기법은 장수와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투자 수익의 복합적인 결과를 말한다.

버핏은 이메일에서 “그 모델은 효과적이지만 나는 9%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버핏은 어렸을 때 부를 축적하는 것은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는냐가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버느냐는 문제를 깨달았다.

“얼마나 많이 버느냐보다 얼마나 오래 버느냐가 중요”

그는 10살 무렵 1000달러를 모으는 방법에 관한 책을 읽고 시간의 중요성을 본능적으로 깨달았다. 1000달러가 10%를 벌면 5년 뒤에는 1600달러가 된다. 10년 뒤에는 2600달러, 25년 뒤에는 1만 800달러, 50년 뒤에는 약 11만 7400달러가 된다. 이와 관련해 앨리스 슈뢰더가 쓴 버핏의 전기에는 “이게 돈이 굴러가는 방식이다. 바로 눈 굴리기”라고 설명했다. 돈은 복리, 그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그는 78년 전인 12살 때 시티스 서비스 주식 3장을 샀다.
이미지 확대
워런 버핀. AP 자ㅛ 사진
워런 버핀. AP 자ㅛ 사진
버핏의 또 다른 가르침은 유연성이라고 WSJ이 지적했다. 그는 나이가 들수록, 과거에 익숙했던 방식으론 투자를 적게 한다. 버핏은 수십 년 전 아무도 거들떠보지도 않던 농기구 생산업체 뎀스터 밀과 지도 제작업체 산번 맵에 투자했다. 이를 통해 1957년부터 1968년 사이 평균 25.5%의 수익률을 챙겼다. 당시 S&P 500의 평균은 10.5%였다.

요즘 버크셔의 최대 지분은 애플에 있다. 버크셔의 시장 가치 24%가 애플에 투자되어 있다. 버크셔의 포토폴리오를 위해 애플에 투자한 것은 그의 참모들이지만 버핏은 투자에 대해 더 열정적이다. 버핏이 기술주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며 투자를 거부했던 과거와 비교하면 놀라울 만큼 큰 변화다. 보통 투자자들은 애플 주식의 보유기간은 25주가 되지 않지만 버크셔는 애플 주식을 4년 6개월간 보유하고 있고, 언제 보유를 끝낼지도 알 수 없다.

‘투자의 귀재’ 버핏도 후회하는 투자는 주택 구입

‘투자의 귀재’ 버핏도 후회하는 실수가 있었다. 20대 후반 그는 오마하에 자신의 집을 3만 1500달러를 주고 샀다. 이에 대해 그는 “버핏의 바보짓”이라고 불렀다. 왜냐하면 “그의 마음속에 3만 1500달러는 복리로 보면 미래엔 100만 달러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라고 그의 전기에 나온다.

버핏 친구들과 가족들은 버핏이 젊었을 때 “내가 이발에 수십달러를 써야 할까”, “그런 식으로 50만 달러를 날리고 싶지 않아”라고 투덜거리는 소리를 자주 들었다. 그에겐 당시 소비한 수십, 수백 달러가 미래에는 복리로 수십만 달러가 되기 때문이다.

그는 오늘 쓰는 1달러가 미래에 가질 수 없는 100달러, 1000달러라는 것을 깨달아도 구두쇠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충고한다. 거래의 중요성을 재는 교훈을 가르쳐주기 때문이다. 오늘 소비하고자 하는 필요나 욕구가 그 돈으로 수년 또는 수십 년 뒤의 미래에 성취하게 될 것과 저울질해봐야 한다. 거래를 자주 할수록 복합적 이득을 놓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무엇보다도 버핏이 계속 보여주듯이 인내와 지구력이 최고의 투자이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