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쩍 ‘셀피’ 포즈 취하는 마운틴 고릴라 두 마리, 애달픈 사연이

슬쩍 ‘셀피’ 포즈 취하는 마운틴 고릴라 두 마리, 애달픈 사연이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4-23 06:49
업데이트 2019-04-23 07: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생에 1000마리 정도 밖에 남아 있지 않은 멸종위기종 마운틴 고릴라 두 마리가 밀렵꾼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국립공원 레인저가 셀피를 촬영할 때 뒤에서 자연스럽게 포즈를 취해 눈길을 끌고 있다.

아프리카 대륙 최초의 국립공원인 콩고민주공화국 비룽가 국립공원의 센퀘퀘 보호소에서 촬영된 사진인데 ‘은다카지’와 ‘은데제’란 이름으로 불리는 두 암컷은 각각 생후 4개월과 2개월 됐을 때인 2007년 7월 어미들이 밀렵꾼에 살해된 아픔을 갖고 있다고 영국 BBC와 인디펜던트, 미국 AOL 닷컴이 22일(현지시간) 전했다. 그 뒤 공원 레인저들이 거두어 길러왔는데 두 마리 모두 부모처럼 레인저들을 여겨 이렇듯 천연덕스럽게 셀피 포즈를 따라 하는 것 처럼 행동했다는 것이다.

이노센트 음부라눔웨 비룽가 국립공원 부국장은 아주 어릴 적부터 이곳 공원에서 레인저들과 함께 성장했기 때문에 고릴라들이 “인간 흉내를 낸다”며 두 다리로 서는 것이 그들 나름대로 “인간이 되려고 배우는” 방법이라고 말하면서도 “늘상 있는 일은 아니다”고 했다. 이어 “그걸 보고 많이 놀랐다. 아주 재미있다. 고릴라가 얼마나 인간을 모방해 그렇게 서 있을 수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처음에는 밀렵을 반대하는 운동가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다 BBC 기자로 일했고 지금은 유엔 케냐 지부에서 일하는 이본느 은데게가 BBC에 알려 보도되면서 선풍적인 관심을 끌고 고릴라 보호에 앞장 선 비룽가 국립공원을 돕기 위해 기부금을 내겠다는 약속이 이어졌다. 국립공원측은 인스타그램에 연출된 것 아니냐는 댓글 등에 대해 반박하는 글을 올렸다. “고릴라들이 이렇게 두 발로 서 있는 모습을 보는 일은 어렵지 않은 일이며 많은 유인원들이 아주 짧은 순간이지만 편안하게 직립보행을 할 수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하지만 이렇게 셀피를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는 것과 같은 행동은 “예외적인 여건에서”촬영된 것이며 관광객들이 이런 순간을 만들어내려고 따라 해선 절대 안된다고 경고했다.

또 레인저로 일하는 것이 즐거운 일만은 아니며 아주 위험한 일자리다. 지난해에도 이 공원의 레인저 다섯 명이 반군으로 의심되는 이들의 매복 공격을 받아 숨지는 등 1996년 이후 13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콩고민주공화국 동부에서는 정부군과 다양한 무장 분파들의 내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 이들 무장 분파 가운데 몇몇은 공원 안에 근거지를 두고 때때로 동물들을 밀렵하곤 해 레인저들과 충돌을 빚는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