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워커힐호텔 ‘꽃의 전설’

[공연리뷰]워커힐호텔 ‘꽃의 전설’

입력 2010-05-03 00:00
업데이트 2010-05-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우 60명·제작비 60억… 덩치 키운 퓨전국악

고정관념 때문이겠지만 ‘퓨전 국악’ 하면 왠지 소규모 공연이 떠오른다. 조그만 공연장에서 가야금이나 해금을 든 젊은 연주자들이 귀에 익숙한 대중가요를 연주하는 모습, 이따금 일렉트릭 기타나 드럼과 같은 현대 악기들이 이를 뒷받침해주는 모양새…. 퓨전 국악 장르에 대한 대중적 선호도가 그리 높지 않은 까닭에 투자를 받아 대규모 공연을 기획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하지만 서울 광장동 워커힐호텔이 준비한 ‘꽃의 전설’은 대기업의 ‘재력’에 힘입어 엄청난 스케일을 자랑한다. 물론 단순히 퓨전 국악 장르로만 분류하기엔 어려운 측면도 있지만,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수성을 조합했다는 측면에선 충분히 퓨전 국악으로 평가될 만하다. 지난 5일부터 워커힐씨어터에서 오픈런(무기한 공연)으로 공연 중이다.

이미지 확대
‘꽃의 전설’은 마치 올림픽 개막 공연을 방불케 한다. 남녀 주인공인 미르와 아라의 사랑을 주제로 화려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관객을 사로잡았다. 아라의 무리가 화려한 꽃춤을 출 땐 객석 가득히 은은한 아로마향이 흐르고, 남성 무용수들은 힘차게 줄을 타고 내려와 아박무(궁중무용의 일종)를 춘다. 멋드러지게 나타나는 거대한 폭포, 물줄기 속에서 북을 치는 근육질 남성들, 남녀 주인공을 태운 용선과 꽃배, 홀로그래픽 영상과 함께하는 아라의 살풀이 춤 등 오감을 즐겁게 하는 콘텐츠로 가득했다.

85분간 진행되는 향연에 출연하는 배우만 60명이다. 제작비는 60억원. 국내 웬만한 국립 공연단체의 1년 예산을 뛰어넘는 수치다. 하지만 아쉬움도 컸다. ‘꽃의 전설’에는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수많은 소재들이 나온다. 고전무용은 물론 사물놀이, 난타, 태권도, 전통혼례, 등축제, 줄타기 등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여기에 새로운 한류 트렌드인 비보이까지 등장한다. 너무나 많은 것을 85분이란 짧은 시간에 담아내다 보니 ‘스토리’는 퇴색하고, 산만해질 수밖에 없었다. 금방 물리기 쉬울 수도 있겠다. 영화로 따지면 스토리 라인이 부실한 블록버스터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 싶다.

다만 퓨전 국악도 대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그래서 거대한 공연이 탄생될 수 있다는 점은 의미있는 대목이다. 소규모 공연 일변도의 퓨전 국악 장르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블록버스터로 진화할 수 있다는, 퓨전국악사(史)에 선례를 제시해 줬으니 말이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5-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