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외국인이 본 순박한 한국

1930년대 외국인이 본 순박한 한국

입력 2010-05-24 00:00
업데이트 2010-05-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24~26일 ‘다큐프라임’

1930년대 외국인의 눈에 비친 우리나라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당시의 모습을 카메라에 오롯이 담아 한 권의 책으로 펴낸 유럽의 학자가 있었다. 스웨덴 동물학자 스텐 베리만(1895~1975)이 그 주인공. 1938년 출간된 ‘한국의 야생동물지’는 그가 약 2년간 이 땅에 머물면서 겪은 일들과 직접 찍은 100여장의 사진을 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스웨덴 동물학자 스텐 베리만이 남긴 1930년대 당시 한국 기록을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담아낸 ‘다큐프라임-1935 코레아, 스텐 베리만의 기억’ 한 장면.  EBS 제공
스웨덴 동물학자 스텐 베리만이 남긴 1930년대 당시 한국 기록을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담아낸 ‘다큐프라임-1935 코레아, 스텐 베리만의 기억’ 한 장면.
EBS 제공


EBS가 24~26일 오후 9시50분 방송하는 ‘다큐프라임-1935 코레아, 스텐 베리만의 기억’은 베리만이 남긴 기록과 그 속에 숨은 흥미로운 사실들을 애니메이션 형식을 빌려 담아낸다.

1997년 네덜란드 고서점에서 우연히 그의 책을 손에 넣게 된 취재진은 그의 이야기를 되살리기 위해 스웨덴으로 날아가 흔적을 더듬어 간다. 마을과 들판에서 만난 순박한 사람들을 비롯해 매사냥꾼, 어부, 기생, 해녀 등 그가 사진에 담아낸 사람들은 당시의 한국 시대상, 자연, 풍속을 생생히 전달한다.

한마디로 그의 책은 그때 그 시절 한국의 모습이 담긴 한 권의 타임캡슐이다. 생존한 그의 딸은 아버지가 사랑한 나라 한국을 똑똑히 기억하며 베리만이 책에 다 담지 못한 400여장의 사진과 함께 흥미로운 뒷이야기를 들려준다. 총 3부작 중 1, 2부의 주요 에피소드들은 베리만이 남긴 자료와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살려내기 위해 사진이 움직이는 픽처 애니메이션과 스케치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으로 재현됐다.

1부는 베리만이 국왕의 후원을 받으며 고국을 떠나 한국에 들어온 과정을 다루고 2부에서는 그가 남긴 사료를 통해 일제 강점기 서민들의 삶을 돌아본다. 3부에서는 그의 책을 발견한 제작진이 스웨덴으로 날아가 그의 일생을 돌아보는 과정을 담는다.

제작진은 “베리만은 백인 우월주의를 벗어나 따뜻한 시선으로 이 땅을 돌아봤던 여행자였다.”면서 “그의 기록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0-05-24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