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 연말 가요 시상식 부활할까

지상파 방송사 연말 가요 시상식 부활할까

입력 2010-11-15 00:00
업데이트 2010-11-15 0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가수협회가 지상파 방송 3사에 연말 가요 시상식 부활을 요청하면서 방송사들의 반응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한가수협회 제3대 회장이 된 태진아는 지난 10일 취임사에서 “지상파 방송에서 가수 시상식이 없어졌다”며 “방송사들의 연말 ‘10대 가수상’ 시상식을 부활시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축사를 한 정몽준 한나라당 전 대표,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 등 정계 인사들은 시상식을 다시 만들라는 취지로 한마디씩 거들었고 이 자리에서 김인규 KBS 사장은 “당시 가요대상이 왜 없어졌는지 잘 파악하고 분석해보겠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KBS 전진국 예능국장은 15일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아직 결정된 것은 없지만 시상 제도 부활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방송 3사는 수년전 연말 가요 시상식 제도를 폐지했다. 2006년 KBS와 MBC에 이어 2007년 SBS가 시상 제도를 폐지했고 이후 비경쟁적인 축제 형식의 무대로 꾸몄다.

이는 당시 음악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었다. 2004년 한국연예제작자협회가 공정성 등을 지적하며 연말 가요 시상식을 폐지하라는 성명을 냈고 일부 음반제작사는 수상사 선정에 불만을 표시하며 시상식 보이콧을 선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분위기에 변화가 일고 있다. 시상식이 아닌 축제 형태의 연말 무대가 가요계의 활력과 대중의 관심을 떨어뜨렸다는 것이다.

태진아 회장은 15일 연합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배우는 대종상과 청룡상, 탤런트는 연기대상, 개그맨과 MC는 연예대상 등을 통해 옥석을 가린다”며 “왜 가수에게는 한해를 치하하는 자리가 없는가. 연말 시상식이 부활해 침체된 가요계에 긴장과 활력을 줬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가요 관계자도 “선의의 경쟁이 없으면 발전이 없다”며 “현재 아시아권에선 K-POP 열풍이 일고 있는데 우리는 공신력 있는 음악차트 하나 없는 상황이다. 국내 대표 방송사에서 상을 받는 게 해외에서도 의미있는 프로필이 될 수 있다. 또 대중의 음악에 대한 관심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가요계는 시상 제도가 부활하려면 합당한 음원과 음반 판매 자료, 공신력있는 기관의 리서치 등을 바탕으로 수상자 선정에 공정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 위해 방송사들이 음악 업계와 진지한 논의를 거쳐야 하며, 음악 업계도 책임감을 갖고 참여할 때 상의 권위가 생긴다는 것이다.

포미닛과 비스트의 소속사인 큐브엔터테인먼트 홍승성 대표는 “방송사의 시상 제도 부활에는 긍정적”이라면서도 “방송사들은 음반제작사, 대한가수협회 등 음악업계와의 논의를 통해 공정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선정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홍 대표는 “음악 업계도 이러한 논의를 거친 시상식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며 “콘서트, 해외 활동 등 부득이한 스케줄이 아니라면 상을 주면 나가고 안 주면 안 나가는 식의 편협한 사고도 버려야 한다. 방송사 시상식이 한해 고생한 가수들의 축제의 장이 되도록 방송사와 음악업계가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음반기획사 이사는 “아시아가 하나의 음악 시장이 된 만큼 방송 3사가 한해씩 돌아가면서 통합된 ‘아시아 뮤직 어워드’를 마련하는 것도 복안”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