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듯 웹툰 보듯… 하루 한 편, 순수문학에 빠지다

게임하듯 웹툰 보듯… 하루 한 편, 순수문학에 빠지다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3-10 17:22
업데이트 2020-03-11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속도내는 ‘문학 플랫폼 진화’

이미지 확대
계간·월간 잡지 일변도였던 문학 플랫폼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호흡이 긴 종이 잡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하루 한 편’을 표방하는 구독 경제 기반 온라인 플랫폼이 등장하고 몇몇 시인·작가가 해 오던 메일 구독 서비스도 팀 형태로 진화했다. 여기에 종이 잡지를 발행하던 기성 출판사도 웹진 제작에 적극적으로 뛰어드는 모양새다.
이미지 확대
‘던전’ 서호준 대표.
‘던전’ 서호준 대표.
●내 무대 내가 만든다… 문학 플랫폼 ‘던전’

지난달 24일 연 ‘던전’은 온라인 기반의 순문학 유료 플랫폼이다. 등단·비등단 경계를 나누지 않고 5명의 작가가 의기투합해 만들었다. 시, 소설, 희곡, 평론, 산문, 대담, 작가 인터뷰 등 기존 문학잡지에서 다루던 모든 콘텐츠를 매일 밤 12시 웹사이트를 통해 발행한다. 가입 시 7일간 무료 체험 기간 후 한 달에 7000원, 석 달에 1만 9900원으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첫 연재분은 원고 마련을 위해 독립문학 신에서 활동해 오던 시인·소설가들에게 청탁했지만, 앞으로는 투고를 받을 예정이다. 서호준 던전 대표는 “웹툰이나 웹소설은 독자들이 매일 볼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잘돼 있는 데 반해 순문학 쪽은 그런 게 미비했다”며 “지금 시대에 종이 잡지라는 것은 텀이 길어서 독자 입장에서 답답하게 여겨져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메일 구독 서비스 진화… ‘책장 위 고양이’

에세이를 메일로 보내 주는 형태의 구독 서비스도 더욱 진화했다. 이슬아 작가를 필두로 몇몇 시인과 작가가 가내수공업 형태로 독자들에게 개별 메일을 보내던 것에서 ‘팀 단위’로 발전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책장 위 고양이’ 김민섭 작가.
‘책장 위 고양이’ 김민섭 작가.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 ‘대리사회’를 썼던 김민섭 작가를 비롯해 김혼비·남궁인·문보영·오은·이은정·정지우 등 작가들이 쓴 에세이를 매일 한 편씩 메일로 보낸다. 한 달에 1만 2900원, 석 달에 3만원이면 매달 21편의 에세이를 받아 볼 수 있다.

매주 ‘고양이’, ‘작가’, ‘친구’ 등 주제어와 연관된 7편의 서로 다른 이야기를 내놓는다.

김민섭 작가는 “코로나19 시국에 작가와 독자가 면대면으로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독자와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을까를 고민하다 나온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기성 출판사도 뛰어들어… ‘주간 문학동네’

계간지를 운영하는 기성 출판사도 새로운 형태의 웹진을 창간하며 변화를 시도 중이다. 문학동네는 최근 장편소설과 산문 연재를 전문으로 하는 웹진 ‘주간 문학동네’를 창간했다. 별도 로그인 절차 없이 무료로 매일 오후 3시면 작가들의 새로운 글을 읽을 수 있다.

지난 2일 오픈과 함께 정세랑·김언수·박상영·김인숙 작가의 장편소설과 김금희·정지돈 작가, 심채경 천문학자, 김원영 변호사의 산문을 연재한다. 2~6개월간 연재된 소설과 산문은 연재 종료 후 단행본으로 출간한다.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모바일 환경에서 서체나 플랫폼 디자인에도 신경을 썼다.

김영수 문학동네 편집자는 “최근 출판 시장에서는 장편소설의 출간 종수가 많이 줄어들었는데, 장편을 쓰고 싶은 작가들에게 기회를 주고 독자들에게도 바로 읽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자는 데 의의를 뒀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3-1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