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무대와 소리의 만남…동시대 예술 창조의 시작

연극 무대와 소리의 만남…동시대 예술 창조의 시작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6-21 17:48
업데이트 2015-06-21 2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제적 인간, 연산’으로 손잡은 연출가 이윤택·소리꾼 이자람

“언젠가는 브레히트(1898~1956)의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판소리극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저는 브레히트와 판소리가 통한다고 보는 사람이거든요. 그런데 그걸 이자람씨가 먼저 해버렸어요. 너무 잘해서 나는 못하게 됐지.” 지난 18일 서울 용산구 서계동 국립극단 연습실. 연출가 이윤택(63)의 말에 소리꾼 이자람(36)이 부끄러운 듯 얼굴을 손으로 감쌌다. “이자람씨는 세계적인 판소리극을 만들어서 저를 좌절시킨 장본인입니다. 언젠가 꼭 같이 작업해 보고 싶었죠.”

이미지 확대
연출가 이윤택은 이자람에게 “백석의 시가 너무 아름다운데, 판소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더라”면서 백석의 시를 작창해달라 부탁했다. 이자람은 “아직 하겠다는 대답을 못 드렸다”고 웃으며 손사래를 쳤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연출가 이윤택은 이자람에게 “백석의 시가 너무 아름다운데, 판소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더라”면서 백석의 시를 작창해달라 부탁했다. 이자람은 “아직 하겠다는 대답을 못 드렸다”고 웃으며 손사래를 쳤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자람을 향한 이윤택 연출의 칭찬은 결코 과장이 아닌 듯했다. 12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올리는 ‘문제적 인간, 연산’에서 이 연출은 이자람에게 중책을 맡겼다. 녹수와 폐비 윤씨 1인 2역에 음악감독과 작창(作唱)까지 소화하고 있는 이자람을 두고 이 연출은 “훌륭한 파트너”라고 치켜세웠다.

이윤택 연출과 이자람의 만남은 필연이었다 해도 무방하다. 이 연출은 거리굿 등 한국의 전통연희에서 연극의 원형을 탐구해 왔다. 이자람은 ‘사천가’, ‘억척가’, ‘추물/살인’ 등의 작품에서 현대 희곡의 판소리화(化) 가능성을 증명해 보였다. “흔히 연극인들은 서양 연극을 주(主)로, 전통연희는 부(附)로 여기죠. 하지만 저는 ‘굿이 곧 우리 연극’이라고 주장해 온 사람입니다. 이자람씨도 마찬가지예요. 판소리를 하지만 그 안에 갇혀 있지 않고 동시대의 예술로 만드는, 창조적인 예술가거든요.”(이윤택 연출)

이 연출이 이자람에게 손을 내민 건 지난해 12월 ‘혜경궁 홍씨’ 공연에서였다. 사도세자로 열연한 신예 백석광(32)이 연산 역을 꿰찬 가운데, 그의 오랜 연인인 이자람을 극장에서 만나 단번에 녹수 역으로 점찍었다. 이자람에게는 결코 선뜻 받아들이기 힘든 제안이었다. “이 기회가 얼마나 귀한지 알기 때문에 더 조심스러웠어요. 제가 온전히 힘을 쏟지 못하면 안 되니까요.” 백석광과는 “사귀는 동안에는 둘이서 한 무대에 서지 말자”고 약속까지 한 터였다. 그러나 “이윤택이라는 큰 나무 아래에 선다는 사실”은 그의 가슴을 뛰게 했다. 다시 이 연출을 찾아가 “감사합니다”하고 고개를 숙였다.

‘문제적 인간, 연산’은 1995년 초연해 한국 연극계에 큰 충격을 던진 작품이다. 폭군으로만 기억됐던 연산군에게서 모성의 부재와 그로 인한 나약함을 끄집어내며, 역사 속에 갇힌 인물을 살아 숨쉬는 인간으로 조명했다. 이자람의 합류는 녹수를 새롭게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출은 “녹수는 원래 가인(歌人), 노래를 잘하는 기생이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연습실에서 미리 본 이자람의 녹수는 얼굴 가득 온화한 미소를 머금은 채 은은한 노랫가락으로 울부짖는 연산을 어루만졌다.

“이번 공연에서의 녹수는 젊은 매력으로 남자를 홀린 ‘팜파탈’이 아닙니다. 이윤택 선생님은 ‘서른 넘은 나이에 겪을 것을 다 겪은 천민’이라고 강조하셨어요. 모성애가 결핍된 연산을 노래로 위로하는 가인이라는 생각으로 녹수에 임하고 있습니다.”(이자람) 그러면서도 후반부에는 피비린내 나는 복수를 불러일으키는 광기까지, 녹수가 품은 극과 극의 본성을 연기와 노래에 담아 보일 예정이다.

“저와 이자람씨의 만남은 매우 바람직하고 생산적입니다. 서양 연극 위주인 연극과 우리의 전통이 각자의 것만 주장하고 있죠. 연극과 전통예술이 서로 벽을 허물고 동시대의 예술을 만들어가야 합니다.” ‘문제적 인간, 연산’ 이후에도 함께 작업할 가능성에 대해 물으니 이윤택 연출은 “이 귀중한 사람을 또 활용하고 싶지 않다”며 고개를 저었다. 대신 “이자람이 앞으로 만들어 갈 판소리가 우리 연극의 일부가 될 것”이라며 이자람을 또 한번 치켜세웠다. 7월 1~26일 서울 용산구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2만~5만원. 1644-2003.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6-22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