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화단 작가들, 부조리 사회를 비틀다

베를린 화단 작가들, 부조리 사회를 비틀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19-07-22 17:48
수정 2019-07-23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척추를 더듬는 떨림’ 한국 첫 전시

이미지 확대
학교에서 버려지는 책상을 설치미술품으로 만들어 코소보 내전의 비극을 기록한 페트릿 할릴라이의 ‘철자법 책’ 시리즈.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학교에서 버려지는 책상을 설치미술품으로 만들어 코소보 내전의 비극을 기록한 페트릿 할릴라이의 ‘철자법 책’ 시리즈.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교실 밖은 진공상태처럼 고요해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가끔 누구를 향하는지 알 수 없는 연발 총탄 소리가 비극을 깨우쳐 줄 뿐이다. 아직 죽음을 알기엔 너무 이른 나이의 아이들은 총을 메고 다니는 어른들의 모습과 그들의 입에서 나오는 거친 말들을 고사리 같은 손으로 책상에 새기고 그리며, 불안한 마음을 지워 보려 애쓴다.

1986년 코소보의 한 마을에서 태어나 내전의 총탄을 피해 이탈리아로 입양된 작가는 전쟁이라는 비극을 기록하고 기억해야겠다는 사명감 같은 게 생겼다. 피난 입양아에서 유럽에서 주목받는 예술가로 성장한 페트릿 할릴라이(33)는 그렇게 2015년부터 설치·조각 시리즈 ‘철자법 책’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남미 국가에서 나고 유년기를 보냈지만 유럽에서 미술을 배운 작가의 눈길은 ‘문화’라는 옷을 입은 권력의 지배구조에 쏠렸고,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작가의 눈에는 특히 부조리한 사회구조가 밟혔다. 현대미술 중심지로 떠오른 독일 베를린에서 창작 세계를 펴고 있는 이 젊은 작가들이 처음으로 자신들의 작품을 들고 한국을 방문했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출신 작가 조라 만은 ‘방패 시리즈’에 아프리카 토착부족의 초자연적이고 영적인 문화를 녹였다. 베네수엘라 출신 솔 칼레로는 회화 ‘남쪽의 학교’를 통해 권력의 지배구조에 집중했다.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네덜란드 출신 작가 조라 만은 ‘방패 시리즈’에 아프리카 토착부족의 초자연적이고 영적인 문화를 녹였다. 베네수엘라 출신 솔 칼레로는 회화 ‘남쪽의 학교’를 통해 권력의 지배구조에 집중했다.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이미지 확대
남미풍의 그림을 설명하고 있는 솔 칼레로.
남미풍의 그림을 설명하고 있는 솔 칼레로.
●‘현대미술 중심’ 베를린 화랑가 볼 기회

아라리오갤러리가 올해 여름 전시로 서울 삼청 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룹전 ‘척추를 더듬는 떨림’은 각기 국적과 성장 배경은 다르지만 현재 베를린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가 4명의 작품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공동체에 대한 개념을 저마다 독특한 예술 세계로 풀어내며 창작자가 품은 에너지를 마음껏 쏟아낸다.

내전을 피해 유년기에 고향을 떠나야 했던 할릴라이는 종전 후 방문한 코소보의 한 학교에 버려진 책상에서 내전의 흔적과 아픔을 발견했다. 그는 아이들이 낙서가 고스란히 담긴 책상을 대형 설치물로 만들었다. “사소하게 잊히는 학생들의 낙서를 통해 우리 개인의 기억이 상실되거나 희미해지는 것을, 나아가 한 사회의 역사가 왜곡돼 기록되는 것을 보존하는 행위”라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

네덜란드 출신 조라 만(40)은 아프리카에서 보낸 유년기를 토대로 제작한 작품 ‘코스모파기’를 선보인다. 해양보호 활동에도 참여한 적 있는 작가는 케냐의 해변과 수로 등에 버려진 플라스틱 슬리퍼로 대형 커튼을 만들어 갤러리에 내걸었다. 작가는 “인도양의 가장 큰 오염원이기도 한 슬리퍼들은 인류의 욕망이 되돌릴 수 없는 환경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공동체적 인식을 강조한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아프리카 토착부족의 초자연적이고 영적인 문화를 녹인 ‘방패 시리즈’도 함께 공개했다.
이미지 확대
그룹전 ‘척추를 더듬는 떨림’에 참여한 작가들이 아라리오갤러리 삼청에서 자신들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그룹전 ‘척추를 더듬는 떨림’에 참여한 작가들이 아라리오갤러리 삼청에서 자신들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매달린 새우 등 예상치 못한 감각 빛나

베네수엘라 출신 솔 칼레로(37)의 작품 중에서는 건축구조적 요소에서 권력의 지배구조를 표현한 회화 ‘남쪽의 학교’가 눈에 띈다. 유럽 열강이 남미 국가들을 지배했을 때 남긴 ‘유럽풍’ 건축물들을 재해석해 캔버스에 담았다. 그는 “사회가 특정 문화를 빌려 권력의 지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탐구하는 작품”이라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영국 작가 카시아 푸다코브스키의 설치미술작품 ‘지속성 없는 없음’.
영국 작가 카시아 푸다코브스키의 설치미술작품 ‘지속성 없는 없음’.
이 밖에 런던 출신 카시아 푸다코브스키(34)는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패널들을 연결한 설치미술작품 ‘지속성 없는 없음’을 가지고 왔다. 새우를 매단 커튼, 앉아 있던 사람들의 흔적만 남은 대합실 의자 등을 엮어 전시관 한편에 놓았다. 서로 관련 없는 사물들을 엮어 개인의 자유가 통제·감시받는 부조리한 사회구조를 표현했다. 전지영 아라리오갤러리 큐레이터는 “작가들은 하나로 규합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미술적 영향을 동시에 받으면서 다양한 사회의 정체성과 위계의 정치학에 얽혀 있는 모습을 예상치 못한 감각으로 풀어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10월 5일까지 진행된다.

박성국 기자 psk@seoul.co.kr
2019-07-23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