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적인 욕망을 마신다 미각전쟁… 와인 승부史

매혹적인 욕망을 마신다 미각전쟁… 와인 승부史

입력 2010-11-13 00:00
업데이트 2010-11-13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라이벌 와인】조정용 지음 한스미디어 펴냄

“부르고뉴는 가볍다. 뭔가 비어 가벼운 게 아니라 새털처럼, 또한 공기처럼 가벼운 것이다. 거기에 꽃향기가 풍기며, 과일 자체의 맛이 많이 난다. 출신지를 떠올리는 흙 맛과 미네랄 향취가 있다. 상대적으로 보르도는 무겁다. 타닌이 견고하고 육중한 무게감이 느껴진다.”

도대체 뭘 가리키는 표현일까. 어지간한 와인 애호가라면 벌써 눈치챘을 게다. ‘신의 물방울’, 와인 이야기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두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을 마시기 위해선 생김새조차 다른 잔을 써야 한다. 부르고뉴 잔은 항아리를 닮았다. 입술 닿는 부분 아래가 오목하게 파였고, 밑으로 내려갈수록 불룩해진다. 와인이 폭넓게 입안으로 쏟아져 들어가면서 특유의 신맛이 잘 느껴지도록 고안됐다. 반면 보르도 잔은 굴곡 없이 입구부터 몸통까지 완만한 곡선을 그린다. 와인의 공기 접촉을 완화하고, 맛이 입 전체가 아닌 혀끝으로 모아지게 하기 위해서다.

장삼이사들이야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사소한 차이지만, 애호가들에겐 맛의 차이를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런 까닭에 1985년 영국 런던의 크리스티 경매장에서 1병에 15만 6000달러(약 1억 7300만원·1787년산 샤토 라피트-현 샤토 라피트 로실드)짜리-게다가 끊임없이 가짜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와인이 탄생하게 됐을 것이다. 이쯤 되면 와인이 아닌 욕망을 마신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근래 비약적으로 향상된 와인 제조 기술 덕에 비슷한 가격대의 와인이라면 어떤 원산지, 어떤 브랜드를 선택해도 큰 차이가 없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하지만 다소간 맛과 향의 차이는 분명히 있고, 애호가들은 그 미묘한 맛의 차이를 찾기에 여념이 없다.

‘라이벌 와인’(조정용 지음, 한스미디어 펴냄)은 그 미묘한 차이를 라이벌 구도를 통해 알기 쉽게 풀어낸다. 2등급을 벗어나기 위해 가문 대대로 피눈물 나는 노력을 벌이다 마침내 1등급 와인이 된 프랑스의 무통과 처음부터 1등급 샤토를 얻은 라피트의 이야기, 보르도의 가장 오랜 기록을 가지고 있는 오브리옹 등을 벤치마킹해 그들의 아성을 넘보게 된 미국 오퍼스원의 이야기 등, 와인의 승부사(史)가 저자의 해박한 지식을 통해 세세하게 묘사된다.

아울러 책에는 저자가 세계의 유명 와인 산지를 다니며 직접 담아온 다양한 사진들도 풍성하게 담겼다. 최고의 와인이라 불리는 로마네 콩티의 올드 빈티지에서부터 와인의 신세계로 떠오르고 있는 미국과 뉴질랜드 등 세계 곳곳의 유명 포도밭까지, 쉬 보기 어려운 와인 산지의 생생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1만 8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11-13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