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의 세계산업 점령기

중국산의 세계산업 점령기

입력 2011-06-25 00:00
수정 2011-06-2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 팬티는 어디에서 왔을까】 조 베넷 지음 알마 펴냄

만약에 우리 주변에 중국산이 없다면? 몇 년전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 없이 살아보기’라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재미있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한국과 미국, 일본 등 각기 다른 국적의 가정에서 실험한 결과는 한마디로 처절한 상황, 그 자체였다. 며칠 만에 가정의 일상이 마비되고 만다는 것을 보여줬다.

중국산 제품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우리 삶 깊숙이 들어와 있다. 각종 소비제품들뿐만 아니라 먹거리마저 중국산에 점령당하고 있으니 말이다. 애써 중국산을 피하려고 해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알게 모르게 중국산을 입고 먹고 사용하고 있다.

‘이 팬티는 어디에서 왔을까’(조 베넷 지음·김수안 옮김·알마 펴냄)는 이러한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을 매개로 중국과 중국인을 다루고 있다. 제목이 주는 의미는 ‘당신이 입고 있는 팬티 역시 중국산일지 모른다.’는 것이다. 중국을 빼고는 세계 경제나 세계 시장을 말할 수 없다. 그들이 만들어내는 물건은 아직까지 ‘저렴’ ‘짝퉁’ ‘믿을 수 없는’ 것들의 수식어가 붙지만 곧 떼어버릴 날이 올 수 있다고 이 책은 말한다.

저자가 책을 쓰게 된 동기가 흥미롭다.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저자 조 베넷은 어느 날 할인매장에서 ‘메이드 인 차이나’라고 적힌 여섯 장 들이 팬티 한 묶음을 산다.

그는 중국에서 뉴질랜드까지 머나먼 길을 오며 수많은 중간상인을 거쳤을 팬티들이 단돈 8.59뉴질랜드달러(약 7000원)에 팔리고 있다는 사실에 새삼 충격을 받고 팬티의 제조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중국행 비행기에 오른다.

상하이의 팬티 제조 공장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중국산 제품을 수출하는 상하이 신항, 우루무치의 목화밭과 방적 공장 등을 차례로 돌아보며 제조업을 발판으로 세계를 정복해 가는 중국의 어제와 오늘을 꼼꼼히 살펴본다.

여행기처럼 읽히기도 하지만 중국에서 본 여러 풍경과 만난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전하면서 중국의 정치와 산업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있다.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중국으로 떠나기 전까지는 중국이나 중국산에 별 관심이 없었지만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중국의 식민지 전략이나 중국 내 인종차별의 실상 등 거대 중국의 어두운 이면 등도 다루면서 전문가 못지않은 분석을 해내고 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서양이 중국을 뛰어넘은 것은 18세기 이후의 일이다. 하지만 서양의 승리는 오래가지 않을 듯하다. 중국은 빠른 속도로 전진 중이고 머지않아 선두로 나설 것”이라면서 “팬티로 포문을 여는 것은 이 책이 유일하지 않을까.”라는 말을 던진다.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