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가끔 속물일 때가 있다】 악셀 하케·조반니 디 로렌초 지음 배명자 옮김, 푸른지식 펴냄
‘나는 가끔 속물일 때가 있다’(악셀 하케·조반니 디 로렌초 지음, 배명자 옮김, 푸른지식 펴냄)는 두 독일 남성이 썼다는 사실이 가끔 잊힐 정도로 한국 사람에게도 깊은 공감을 자아낸다.학생운동에 가담했지만 정체성 혼란을 겪었다거나, 전쟁을 겪은 아버지의 정치에 대한 지나친 관심을 이해하지 못했던 경험, 군대 신고식에서 맥주에 담뱃가루, 날계란, 후추를 섞은 술을 거부한 전우를 조롱하고 놀렸던 기억 등은 한국 남성이라면 모두 기시감이 드는 이야기들이다.
저자인 악셀 하케(55)는 ‘하케씨의 맛있는 가족 일기’ 등을 펴낸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언론인이다.
조반니 디 로렌초(52)는 독일의 대표적인 시사 주간지 ‘디 차이트’의 편집국장. 성공한 두 유명인이 그동안 꽁꽁 숨겨 왔던 약점과 이중성을 솔직담백하게 고백한 이 책은 독일에서 2년간 베스트셀러를 기록했다.
특히 어떻게 아이를 기를 것인지 고민하는 대목에서는 유럽 사람이나 한국인이나 사는 것이 별다를 게 없다는 확인을 다시 한번 하게 된다.
맞벌이 부부로 ‘자녀 교육의 격변기’를 살아온 하케는 요즘 세대는 ‘자녀 교육 강박증’에 걸렸다며 그 이유를 다섯 가지로 분석했다.
첫째, 우리는 외동이 아니었다. 둘째, 우리 부모들은 아이가 죽는 일이 흔하던 시대에 태어났다. 셋째, 우리는 부모 세대보다 확실히 겁이 많다. 넷째, 부모 세대와 달리 우리는 확고한 육아관이 없다. 다섯째, 우리 어머니는 걱정을 누르는 걸 아주 잘하셨던 것 같다.
‘세상에서 가장 쩨쩨한 하케씨 이야기’ 등 베스트셀러 육아 도서 및 아동 도서를 여러 권 낸 하케의 이야기이기에 더욱 믿음이 간다.
하지만 하케는 “전문가의 도움말은 자기 삶을 꾸리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오히려 혼란만 준다. 결국 시간과 돈만 낭비한다. 이것이 내가 책을 쓰면서 배운 내용”이라고 결론짓는다.
로렌초 역시 “인류 역사상 지금의 부모들만큼 자녀 교육에 관심을 두고 좋은 의도로 아이들을 대하고 배려한 부모들은 없었다.”며 “모든 세대가 나름의 실수를 한다.”고 경험담을 털어놓는다.
책을 쓴 저자들 고민의 출발점은 ‘사회적 책임감’이었다.
환경, 교육, 외국인 노동자, 정의 등 다양한 화두를 놓고 저자들은 경험에서 우러나온 진실한 고백과 언론인다운 예리한 분석으로 명쾌한 결론을 짓는다. 물론 그 결론은 이래야 한다는 충고나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조언이 아니다. 독자들은 저자가 던지는 질문을 통해 과연 내가 제대로 사는 것인지 진지하게 돌아볼 수 있다. 1만 45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06-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